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라이프 트렌드&] 안전한 먹거리 위한 수산물이력제…‘민간 참여’로 확대한다

해양수산부, 내년부터 본격적인 ‘수산물 민간 참여 이력제’ 추진

우리 국민의 수산물 소비량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발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연간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54.66kg이다. 일본(46.65kg), 중국(40.33kg)보다 상당히 높다. 다른 식품과 비교해도 수산물을 더 많이 소비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식품수급표를 보면 2020년 연간 1인당 식품 소비량은 수산물 68.4%, 쌀 67.2%, 육류 65.1%로 수산물이 1위였다.

수산물이력제는 수산물이 어장부터 식탁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기록·공개한다. 올해부터 민간 참여 이력제로 개편됐다. [사진 해양수산부]
현재 참조기·미역·전복·굴 등 50여 종의 품목에 대해 수산물이력제가 시행 중이다.
수산물은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 기능하는 중요 국민 먹거리다. 탄수화물 중심에서 수산물·육류 등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많은 식품으로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어 앞으로도 수산물 소비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높은 소비량만큼이나 식품 안전성과 투명성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면서 수산물이 어디서 어떻게 생산되고 가공·유통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이력추적시스템도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지난 2008년부터 ‘수산물이력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력추적시스템은 이미 여러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다.



생산·가공·유통까지 전과정 기록해 공개
수산물 이력제는 수산물이 어장부터 식탁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기록·공개함으로써 소비자가 이력을 확인한 후 수산물을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다. 현재 참조기·멸치·미역·전복·굴·김 등 50여 종의 품목에 대해 수산물이력제를 시행하고 있다.

수산물이력제를 통해 수산 식품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은 상품별로 매겨진 고유의 이력번호 덕분이다. 만약 특정 상품에 이상이 생기면 이 번호를 조회해 생산·유통·가공업체 정보를 확인하고 역학조사 등을 통해 어디서 문제가 생겼는지를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어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수산물 생산·유통·가공 경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다. 생산자와 유통·가공업계는 수산물 품질과 위생 관리에 더욱 신경을 쓰기 때문에 신뢰도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홈플러스 관계자에 따르면 2019년도 이력제 의무화 시범사업에 참여한 후 이력제품 취급 물량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대표 상품인 멸치 품목의 경우 2020년도 매출액 대비 2023년 매출액은 약 2배 증가했다.

‘수산물이력제’는 2008년 시행 이후 수협 위판정보시스템과 이력정보시스템 간의 연계, 의무화 시범사업 추진 등 정착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올해부터는 ‘민간 참여 이력제’로의 개편을 통해 가공·유통 기업의 참여를 확대해 생산-가공-유통-판매 전단계 이력정보의 체계적 관리·이력제 참여율 제고 등 ‘수산물이력제’를 내실화함으로써 소비자가 믿고 먹을 수 있는 수산식품을 공급하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우선, 기존에는 생산자가 너무 많은 정보를 유통 단계마다 입력해야 하는 부담 때문에 수산물 이력제에 쉽게 참여하지 못했던 면이 있었다. 하지만 올해부터 시행된 민간 참여 이력제는 참여자 입력 부담을 대폭 완화해 참여하기 쉬운 이력제로 개편했다. 참여자가 직접 입력하는 정보를 33개에서 4개로 줄이고, 입력 단계도 4단계에서 2단계로 축소했다.

내년부터는 올해의 ‘민간 참여 이력제 시범사업’을 기반으로 정부 수산식품 안전관리 기준을 마련해, 이를 충족한 생산·가공·유통기업에서 관리·판매하는 수산식품도 정부 공인 이력제품으로 인정해 정부 이력관리 인증 마크를 사용하는 본격적인 ‘민간 참여 이력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민간 참여 이력제, 시장에 정착시킬 것”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수산물이력제는 수산식품 안전관리에 꼭 필요한 제도로, 그동안의 이력제의 경우 생산자는 참여 절차가 복잡하고 이력정보를 입력·관리하는 비용을 상쇄할 만한 유인이 없어 참여를 주저했다. 또 소비자는 가치소비가 확산세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비용을 더 지불하고 이력 제품을 선택할 유인이 없었다. 이 때문에 시장에 정착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수산물이력제가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시장이나 현장에서 작동하고, 선택받는 제도’가 돼야 한다. 다시 말해 생산자단체, 가공·유통기업은 물론 국민께서도 이력제를 지금보다 더 많이 경험해, 생산자는 이력제 참여 제품을 소비자들이 더 많이 선택하는 것을 경험하고, 소비자는 이력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안전하고 착한 소비가 될 수 있다는 효용감을 충분히 느끼실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민간 참여 이력제 활성화로 이력제를 시장에 정착시키고, 국민 모두가 만족해 소비자와 생산자 누구나 참여하고 싶은 제도가 되도록 더욱 노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승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