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영끌' 갚느라 빠듯하다…아이 낳지 않는 신혼, 빚은 역대 최대

# 직장인 이모(34)씨는 내년 2월이면 결혼한 지 3년째가 되지만 아직 아이 낳을 계획이 없다. 내 집 마련을 위해 이씨와 아내 모두 이른바 ‘영끌’로 대출을 받아 매달 부담해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만 360만원에 이르기 때문이다. 맞벌이지만 생활비까지 더하면 지금도 살림이 빠듯하다고 했다. 이씨는 “경제 상황뿐 아니라 양육 측면에서도 양가 부모님이 지방에 계셔서 손을 빌리기 어렵다. 베이비시터 비용은 꿈도 못 꾸니 당분간은 빚 갚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 결혼하는 부부의 수가 계속 줄어드는 가운데 결혼해도 아이가 없는 신혼부부의 비중이 역대 최대 규모로 늘었다. 맞벌이가 늘면서 신혼부부의 연평균 소득은 늘었지만, 대출 잔액은 그보다 2.4배 많아 팍팍한 삶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 통계’ 결과다.

올해 신혼부부 100만쌍 밑으로 떨어질 듯
차준홍 기자

이날 발표에 따르면 결혼한 지 5년이 넘지 않은 신혼부부는 지난해 103만2000쌍으로 1년 전보다 6만9000쌍(6.3%) 줄었다. 전체 신혼부부 중 81만5000쌍(79.0%)은 초혼이고 21만4000쌍(20.7%)은 재혼 부부였다. 초혼 비중이 줄면서 재혼 비중은 처음으로 20%대를 넘으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015년 관련 통계가 처음 작성될 때만 해도 147만2000쌍이었던 신혼부부 수는 매년 5만~8만명씩 줄어들며 역대 최저 수치를 갈아치웠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는 100만쌍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자녀를 두지 않고 맞벌이하는 ‘딩크족'(Double Income No Kids)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초혼 신혼부부의 절반(46.4%)은 자녀가 없는 부부였다. 전년(45.8%)보다 0.6%포인트 증가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이에 따라 유자녀 비중은 53.6%로 0.6%포인트 감소했다. 전체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 자녀 수는 0.65명으로 전년보다 0.01명 감소해 역대 가장 낮은 수를 기록했다.


차준홍 기자

맞벌이 비중도 증가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맞벌이 비중은 57.2%로 1년 전(54.9%)보다 2.3%포인트 증가했다. 덕분에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소득은 6790만원으로 전년(6400만원)보다 6.1% 증가했다.

신혼부부 10명 중 9명 대출 有…빚 규모↑
하지만 신혼부부의 삶은 여전히 팍팍한 것으로 드러났다. 소득보다 빚이 더 늘고 유주택자 비중은 줄었다. 지난해 기준 신혼부부 10명 중 9명(89%)이 금융권 대출을 가지고 있었는데 대출 잔액 중앙값은 1억6400만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전년(1억5300만원)과 비교하면 7.3% 증가했다. 다만 증가율은 전년(15.4%)보다 둔화했다. 김지은 통계청 행정통계 과장은 “고금리에 예전보단 대출이 억제된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다. 주택을 보유한 신혼부부 비중은 42%에서 40.5%로 1.5%포인트 감소했다.

맞벌이와 주택 소유 여부에 따라 유자녀 비중도 달랐다. 주택이 없거나 맞벌이하는 부부는 아이가 없는 비중이 높았다. 맞벌이 부부 가운데 유자녀 비중은 49.8%로 외벌이 부부(59.4%)보다 9.6%포인트 낮았다. 특히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49.2%)은 그렇지 않은 부부(60.9%)보다 11.7%포인트 낮았다. 또 무주택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49.5%로 유주택 부부(59.6%)보다 10.1%포인트 낮았다.
차준홍 기자

“청년들 체감할 수 있는 저출산 대책 나와야”
김인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아무래도 아이를 키우는데 부모가 경제적 부담이 있기 때문에 삶의 기반이 갖춰지지 않으면 아이 낳기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 맞벌이 부부의 경우 아이를 낳았을 때 본인의 커리어와 아이 양육을 병행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있는 것 같다”라며 “결국 육아 지원 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통해 맞벌이 부부에게 본인이 원하는 사회활동과 자녀 양육을 병행할 수 있다는 신뢰를 줘야 한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일본의 파격적인 저출산 정책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최근 일본 정부는 다자녀(3명 이상) 가구에 대해 2025년부터 소득과 관계없이 모든 자녀의 4년제 대학·전문대·고등전문학교 수업료를 면제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1.26명까지 떨어지자 나온 대책이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지난 6월 “젊은 층 인구가 급감하는 2030년에 진입하기 전까지 저출산 추세를 반전시켜야 한다.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며 연간 3조5000억엔(약 32조원)의 자금을 쏟아붓는 저출산 대책을 발표했다.



이우림(yi.woolim@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