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우의 시시각각]'개인 김건희'에겐 인권도 없나

그럴만 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수사는 2020년 4월 당시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의 고발로 촉발됐다. 미운털이 박힌 윤석열 검찰총장을 수사선상에서 배제한 채 ‘친문’ 이성윤-이정수 서울중앙지검장이 지휘하고 중앙지검 형사6부와 반부패수사2부가 동원돼 1년 반가량 김건희 여사 주변을 샅샅이 털었다. 그래도 혐의점을 찾지 못했다. 결국 2021년 12월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등을 기소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91명 투자자 중 한 명인 김 여사는 사실상 무혐의였다. 하지만 당시 친문 검찰 지휘부는 이마저 뭉개면서 ‘혐의가 없는데 수사를 종결하지 않는’ 어정쩡한 상황을 이어갔다. 그런 저간의 사정을 민주당도 뻔히 아는데 특검이라니. '오버'였다.


특검법 내용도 논란이다. 여태 특검은 여야가 합의해 2명을 추천하면 대통령이 그중 한 명을 낙점하는 식이었다. 이번엔 민주당(대통령이 속하지 않은 교섭단체)만 특검 2명을 추천할 수 있다. 민주당이 임명하는 거나 마찬가지다. 특검팀 규모도 100명 정도로 최순실 특검(105명)에 버금간다. 특검의 절차와 내용 모두 윤 대통령이 받아들일 수 없게 설계하고는 “부인 지키려고 거부권 행사한다”는 덫을 놓은 것이다.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벌어진 일이다. 지난 2월 1심에서 권 전 회장은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김 여사보다 규모와 빈도가 많고 시세조종성 주문을 낸 투자자도 무죄였다. 백번 양보해 김 여사가 주가 조작에 일부 관여했다고 치자. 그렇다고 이리 난리칠 일인가. 영부인이나 검찰총장 부인으로 저지른 비리가 아니지 않나. 10여 년 전 사인(私人) 김건희를 겨냥해 국가가 특검을 하겠다면 이거야말로 코미디요 권력 남용 아닌가.
김 여사가 잘했다는 게 아니다. 해외 명품 쇼핑, 관저 공사 논란 등 눈살 찌푸릴 일도 많았다. 용산 대통령실에 ‘김건희 라인’이 있다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 영부인으로서 잘못된 행위는 엄중히 비판받아야 하고, 행여 문제가 되면 퇴임 후라도 책임져야 한다. 그렇다 해도 정치적 이득을 위해, 대중의 관음증 충족을 위해 ‘개인 김건희’를 들춰 난도질하는 건 폭력이다. 권력자의 아내에게도 인권은 있다.
최민우(choi.minwoo@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