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향기] 미운 마음 아닌, 측은한 마음 가져야
종교와 정치는 인류의 행복이라는 공통의 가치를 추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마음의 평화'다. 정치의 목적인 '건강한 사회질서 확립'도 궁극적으로는 마음의 평화를 위해서이다.종교는 도덕에 근원하여 사람의 마음을 가르쳐 죄를 짓기 전에 미리 방지하고 복을 짓게 하는 법인 것에 반해, 정치는 법률에 근원 하여 일의 결과를 보아서 상과 벌을 베푸는 법이라고 할 수 있다.
흔히 종교와 정치는 엄부(嚴父)와 자모(慈母)에 비유된다. 엄부와 자모가 각각의 역할을 다 할 때 자녀는 올바로 성장하고 행복한 삶을 누리게 된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보편 원리인 '정교분리(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에서 볼 수 있듯이, 방법이 다르나보니 종교와 정치는 화합보다는 주로 대립하고 충돌하면서 발전해 왔다.
레미제라블의 '정의와 자비'는 대학 철학 교양 수업의 단골 리포트 주제이다. 자녀교육에 있어 엄부와 자모의 충돌은 흔히 볼 수 있고, 시위 대학생을 숨겨준 명동 성당의 위법 여부, 미국 내 서류미비자에 대한 태도 등 정의와 자비 관련 이슈는 일상에서 늘 접하고 있다.
평생 장발장을 추적한 형사 자베르와 은식기 절도를 용서해 준 미리엘 주교 중 누가 더 우리 사회에 필요한 인물일까.
소매치기하는 사람을 붙잡았다면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바른 취사일까. 성직자인 필자는 어떻게 취사하는 것이 맞을까.
먼저, 이러한 일을 처리하기 위하여 법이 있는 것이니, 경찰에 알린다. 혹은 나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은 내가 지은 결과이니, 인과의 보응으로 생각하고 넘어간다. 또는 종교인이 아니라면 경찰에 신고하겠지만, 종교인이기 때문에 선처하고 경찰에 신고하지 않는다. 이 모든 건 예상 가능한 답변들이다.
일단 인과로 알고 참회하고 보복하는 마음을 갖지 않아야 한다. 불교적으로 보면 나쁜 사람은 없다. 단지 어리석을 뿐이다. 그들이 받을 죄업을 생각하면 오히려 가엾은 마음(대비심)을 가져야 한다. 인과와 대자대비심이면 충분할까.
원불교에서는 도덕법과 실정법을 모두 포함하는 법률의 은혜를 말한다. 법률이 있어야 안녕 질서를 유지하며 우리를 평안히 살게 하기 때문에 법을 잘 알고 준수해야 한다. 덕인은 단순히 유순하기만 해서는 안 되고, 시비이해의 정확한 판단도 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즉, 인과에 대조하고 자비심을 갖되, 현행법에 따라 신고도 해야 한다. 단, 신고를 하는 경우에도 미운 마음이 아닌, 측은한 마음과 새사람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육신의 병도 예방이 치료보다 중요하듯, 범죄의 경우에도 처벌보다 예방이 중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정치인들은 서로 '내로남불(이중기준)'을 비난하지만, 예수님, 부처님 수준이 되어야 가능한 일이다.
종교 즉 도덕은 정치의 근본이고 도덕의 근본은 마음이다. 마음의 원리를 잘 알고 수행하여 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성품을 갖추어야 한다.
직접적으로는 정치인들이 개인이나 정파의 이익에 가리지 않는 정견(正見)을 통해 바른 법과 제도를 마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수도인, 교화자로서 종교인들의 본분이라 할 수 있겠다.
drongiandy@gmail.com
양은철 / 교무·원불교 미주서부훈련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