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정신병동' 박보영 "'뻔한 희망'이라도 아침은 오니까, 같이 버텨요" [인터뷰①]

[사진]OSEN DB.

[사진]OSEN DB.


[OSEN=연휘선 기자] 배우 박보영이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를 통해 현실의 정신질환자와 보호자 가족들에게 메시지를 남겼다. 

박보영은 10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국내 취재진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약칭 정신병동)'에 대해 이야기했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동명의 웹툰을 원작 삼아 드라마로 각색된 작품이다. 정신건강의학과 근무를 처음 하게 된 간호사 다은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그린 넷플릭스 시리즈다. 이 가운데 박보영은 내과 3년 차에 전과한 명신대병원 정신병동 간호사 정다은을 연기했다. 작품이 호평을 받고 있는 상황에 대해 박보영은 "걱정도 했는데 그래도 잘 나와서 기쁘고 행복하다"라며 웃었다. 

물론 지금에야 웃음여 이야기하지만 박보영에게 '정신병동'은 쉬운 작품은 아니었다. 이 가운데 그는 "제일 생각한 건 '주인공은 환자 분들'이라는 거였다"라며 중심을 잡았다고. 그는 "에피소드 형식을 할 때 환자 분들이 제일 잘보여야 한다고 처음부터 생각했다. 저희는 현장에서 처음부터 같은 스태프들과 촬영해서 편안한 상태이지만 환자 분들은 낯선 환경일 수 있다고 생각해서 빨리 적응할 수 있게 도와드리자는 마음으로 했는데 그게 통한 것 같아서 뿌듯하다"라고 밝혔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그가 환자들의 에피소드 중 공감한 적도 있을까. 박보영은 "촬영하면서는 잘 못 느꼈다. 드라마를 끝나고 봤을 때 '워킹맘' 에피소드가 저랑 제일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그 에피소드에 위로를 많이 받고 눈물도 많이 흘렸다. 제 걸 보면서 많이 울었다"라며 멋쩍어 했다. 그는 "'워킹맘' 뿐만 아니라 열심히 살아서 나를 잃어가는 사람들 모두에게 할 수 있는 말이 '너무 애쓰지 않아도 돼'였던 것 같다"라고 말했다.

실제 병원에서 자문도 구한 박보영은 "가장 참고한 건 행동하시는 것들에 주안점을 뒀다. 제가 첫날 갔을 때가 회진 도는 아침이었다. 간호사 선생님들은 회진 전에 다 바쁘시더라. 미리 가서 환자 분들 병실로 들어가서 회진 준비하도록 하고 문이나 창문 열도록 하는 행동들과 수간호사 선생님들은 한발짝 뒤에서 다른 걸 다 보신다. 누구보다 한발 앞서고 어쩔 땐 뒤에서 모든 것들을 파악하려고 하시는 것들이 있더라. 그리고 여기는 약도 중용하지만 정맥, IV 같은 게 주가 아니라 환자 분들 마음의 상태가 어떤지 혹은 기분이 어떤지 세세한 것들을 인계하시더라. '누구랑 누구랑 친하게 지낸다', '누가 이런 얘기를 하는데 예의주시해야 할 것 같다', '하루종일 이불을 뒤집어 쓰고 안 나왔다'라는 걸 보고 나도 그런 쪽에 포커스를 맞춰야겠다고 생각했다"라고 설명했다. 도움을 준 간호사 친구 반응에 대해 그는 "'우리 병원에서는 네가 간호사처럼 잘 보인다'고 칭찬을 많이 보내줬다. 뿌듯했다"라며 웃었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더불어 '정신병동'은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편견에 도전하는 메시지를 작품인 바. 이에 대해 박보영은 "저 스스로도 편견이 많이 있었다고 생각이 든다. 저는 '수쌤'의 대사에서 '누구에게나 온다.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병이다'라는 게 편견과 다르게 볼 수 있던 포인트였다. 제가 복직을 했을 때 보호자 분들이 반대를 하는 게 굉장히 현실적이라고 생각했다. 제가 환자의 가족이어도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을까 돌아보게 되기는 하더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희 드라마가 하려는 말은 '희망을 잃지 않았으면 좋겠다'이다. 가족들이 마음을 바꾸는 계기도 '이 친구들도 나중에 사회에 나가야 하고 누구보다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봐주길'이라는 게 우리 마음인데 우리부터 봐야하지 않겠나. 저도 똑같은 순서로 마음이 바뀌었던 것 같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우울증에 대해 새로 안 것에 대해 "힘들어하는 사람한테 밖으로 나오라는 것 자체가 폭력적일 수 있다는 거다. 조언을 하려고 한다기 보다 그 사람의 마음에 공감하는 게 먼저라는 걸 처음 배웠다"라고도 강조했다. 

끝으로 그는 "저희 제목을 보면 아시겠지만 희망차고, 희망을 드리는 드라마다. 그런데 너무 희망을 드린다거나, 그런 미래만 있을 거라는 것 보다는 아침이 언젠가는 오니까 지난한 시간을 보내고 있으시더라도 내레이션에도 '뻔한 희망'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그 뻔한 희망을 위해 저희도 버티고 간호사 분들도 도와주려고 하시니 앞이 보이지 않더라도 뻔한 희망을 위해 조금 더 버텨주시면 좋겠다"라고 덧붙였다.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 monamie@osen.co.kr

[사진] 넷플릭스 제공.


연휘선(monamie@osen.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