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주민 굶어 죽어도…김여정 디오르, 최선희는 구찌 '명품 사랑'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6일 보도한 사진에 따르면 콤소몰스크나아무레의 유리 가가린 항공 공장을 방문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든 핸드백이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구찌 핸드백이었다. 타조 가죽으로 만든 주미(Zumi) 모델의 이 핸드백은 지금은 생산되지 않지만 중고 시장에서 1만 달러(약 1330만원)에 거래된다.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은 검은색 디오르 핸드백을 든 모습이 포착됐다. 김여정이 든 핸드백은 송아지 가죽으로 만든 레이디 디오르(Lady Dior) 고급제품으로 디오르사 홈페이지에서 7000달러(약 929만 원)에 판매되고 있다.
다만 현송월 선전선동부 부부장은 중국 웹사이트에서 8 달러(약 1만원)에 살 수 있는 중국산 핸드백을 들고 콤소몰스카나아무레를 방문했다.
북한 고위직 여성들의 명품 핸드백 사랑은 ‘자본주의 문화’가 북한을 파괴하는 무기로 비판하면서 단속하는 것과는 배치된다. 또 지난 2006년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 1718호에 따라 북한에 사치품 수출이 금지돼 있다.

하지만 북한 고위직들의 명품 사랑은 여전하다. 러시아 방문 때 김정은 위원장이 차고 있던 시계도 스위스제 IWC 샤프하우젠 시계였으며 과거 부인 이설주도 디오르 핸드백을 든 모습이 촬영됐다. 딸 주애는 디오르 외투를 입고 등장한 적이 있다. 김여정은 지난 7월 하순 중국 대표단이 평양을 방문할 당시 불가리 핸드백을 든 모습이 포착됐다.
호주 디킨대 인도주의 리더십 센터의 나자닌 자데-커밍스 부소장은 “북한 고위층들이 일반 주민들은 꿈도 꾸지 못할 물건들을 소지하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다”면서 “북한의 초고위층이 살아가는 방식과 평균적인 북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의 큰차이를 잘 알려준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동안 북한 주민 가운데 1000만명 이상이 기아와 영양실조에 시달렸다.
배재성(hongdoya@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