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시조가 있는 아침] 권농가 -남구만(1629∼1711)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 칠 아이는 여태 아니 일었느냐
재 너머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하나니
 
- 청구영언
 
농지는 농민이 가져야 한다
 


해가 점차 일찍 뜨고 종달새가 운다. 농사일이 시작되는 계절, 소 여물을 먹여야 할 머슴은 아직도 일어나지 않았느냐. 고개 너머 긴 이랑 밭을 언제 갈려고 그러느냐.
 
조선 숙종 때 소론의 영수였던 약천 남구만이 장희빈의 아들을 세자로 책봉하는 데 반대하다가 강원도 망상으로 유배되었다. 동해시 망상동 신곡 약천 마을에는 ‘재 넘어와 사래 긴 밭’의 지명이 있고 남구만이 이곳에서 이 시조를 지었다는 비석이 있다.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 나라의 기반이었던 조선. 세종은 “나라는 백성을 근본으로 삼고,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삼는다”고 했다. 약천은 유배 중에도 근면 성실의 미덕을 강조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시조는 농사는 머슴이 짓는 것으로 돼 있다. 양반인 내가 일찍 일어나 소를 끌고 밭을 가는 게 아니라 아이더러 농사일을 서두르라고 채근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사농공상(士農工商)의 계급이 분명한 조선조 사대부의 인식이었다.
 
오늘날 농지는 농민이 소유하고 농사를 짓도록 돼 있다. 그런데 소유만 하고 농사는 짓지 않는 사람들, 신도시가 들어선다는 개발 정보를 빼돌려 농지를 사 이득을 보는 사람들이 농민들의 피눈물을 자아낸다. 지금은 조선시대가 아니다.

유자효 / 시인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