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시로 읽는 삶] 지금은 앵두가 익을 무렵

그때 내 품에는/ 얼마나 많은 빛들이 있었던가/ 바람이 풀밭을 스치면/ 풀밭의 그 수런댐으로 나는/ 이 세계 바깥까지/ 얼마나 길게 투명한 개울을/ 만들 수 있었던가/ (…) 지금은 앵두가 익을 무렵/ 그리고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 그때는 내 품에 또한/ 얼마나 많은 그리움의 모서리들이/ 옹색하게 살았던가/ 지금은 앵두가 익을 무렵/ 그래 그 옆에서 숨죽일 무렵
 
- 장석남 시인의 ‘옛 노트에서’부분
 
 
 
앵두나무는 장미목과의 낙엽 활엽관목으로 분홍색 혹은 흰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오뉴월 익는다. 앵두꽃의 꽃말은 ‘수줍음’이다. 가지에 빨간색 열매가 오종종히 달린다. 예전에는 울 밑에나 우물가 옆에 흔하던 나무인데 우물도 사라지고 울 밑도 귀해져서인지 요즘은 전보다 만나기 쉽지 않다.
 


아파트 현관 옆에 앵두가 익어가고 있다. 젊은 여자 둘이 깨금발을 하고 앵두를 몇 알 따서 손바닥 위에 놓고 즐겁게 재잘거린다. 한 알을 입에 물더니 “앵두가 익을 무렵 뭐 그런 시가 있잖아.” 한 여자가 말하자 “맞아, 맞아, 찾아보자”하며 얼른 휴대폰을 켜 검색을 한다. 문화센터에서 시를 배우고 있다고 하는데 둘 사이가 한 편의 시 같다.
 
그 모습이 친근하고 정겨워 나도 앵두 몇 알을 따서 입 안에 넣어본다. 시의 힘이란 놀랍다. 시가 준 이미지의 확장은 사물의 본체까지도 확장해 놓는다. 앵두는 맛으로 음미하기보다 그리움으로 느껴야 제맛을 알게 되는 듯 생각되니 말이다. 이 시가 발표된 지도 꽤 오래전인데 여전히 앵두를 보면 맘이 아리다. ‘지금은 앵두가 익을 무렵 그리고 간신히 아무도 그립지 않을 무렵’이란 구절에서 울컥해지던 사십 대가 스멀스멀 몰려온다.  
 
누구나 리즈시절이라고 할 만한 생의 한때가 있었다. 황금기는 못되었을지라도 젊음의 피가 원활하게 돌던 때는 무수한 빛들에 휘감겼다. 무한 상속되어 허투루 써도 되는 것 같아 낭비인 줄도 모르고 써대던 시간이나 마음의 뒤란에서 수런거리며 부유하던 열망이 솟구치던 때가 있었다. 그 시절을 보내고 그리움에 휘둘리지 않아도 되는 때, 아무렇지도 않은 때가 앵두가 익을 무렵이라니.  
 
미래라는 아득한 헛것에 취해 무작정 걷던 길 위에서 마주치던 인연들, 그것은 사람이 되었건 장소가 되었건 다 그리움으로 남아 갈대처럼 서걱댄다. 시간을 견딘다는 말에는 쓸쓸한 권태가 남아 있지만 그 견딤의 시간 안에는 ‘간신히’라는 다행스럽기도 하고 고맙기도 한 열매가 빨갛게 익어 있기도 하다.
 
그렇게 간신히 너를 잊고, 그 시간을 잊고, 그 장소를 잊을 수 있게 될 무렵이 앵두가 익을 무렵이더라는 시인의 성찰은 눈부시면서도 측은하다. 그리움이란 어딘가에서 발원하여 어딘가로 흘러간 흔적들, 남겨진 날들에 볼모로 남아 줄기차게 가슴을 훑는 후폭풍이지만 살아온 날들이, 살아온 날들만이 남길 수 있는 선물이기도 하다.  
 
사람이 태어나고 성장기를 보낸 곳에는 그 과정이 떨 군 먼지조차도 다 그리움으로 남는다. 더군다나 오랜 타국생활로 그리움에 중독되어 있다 돌아와 보면 낯익음 속에 깃든 낯섦도 별나고 반갑다. 고향에서는 좀체 저항할 수 없는 지존 앞에서처럼 몸이 낮아지기도 한다.
 
유채꽃이 진 자리 옆으로 피어나기 시작하는 코스모스, 자두가 익어가는 과수원 길, 한옥 흙 마당 싸리비질 자국, 초등학교 앞 문방구, 쓰던 가전제품을 산다는 한낮의 소음까지도 다 그리움의 프레임 안으로 모여들어 숨을 고르게 된다.

조성자 / 시인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