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위험군 152만 명…이장님 동원해 4년 뒤 20% 줄인다
‘고독사 위험군’으로 추정되는 국내 인구가 152만 명이 넘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독사란 주변 사람과 단절된 채 홀로 살던 사람이 극단 선택이나 병사 등으로 인해 시간이 지나 발견되는 죽음을 의미한다. 정부는 이웃과 고립된 위험군을 찾아내 2027년까지 고독사를 지금보다 20%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전체 인구 3%가 고독사 위험군
고독사 위험은 50대가 가장 컸고, 중·장년층이 노년층보다 위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 중 위험군이 차지하는 비중을 따져봤을 때 50대는 33.9%(37만3000명)였는데, 노년인 70대 이상(16.2%·21만 명)과 비교하면 배 이상 차이가 난다. 60대(30.2%·35만5000명)와 40대(25.8%·24만5000명)도 70대보다 높았다. 19~29세는 9.7%(13만8000명), 30대는 16.6%(20만4000명)로 파악됐다. 복지부는 “중·장년층이 건강 관리와 가사 노동에 익숙하지 않고, 실직·이혼 등으로 삶의 만족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있어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분석했다. 가장 힘든 점을 물었더니 1인 가구 중 중·장년층(40~60대)은 경제적 문제(39.1%)를, 청년층(19세~30대)은 정서불안(42.8%)을, 노인층(70대 이상)은 건강문제(30.4%)를 많이 꼽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일상 속 고독사 위험군을 최대한 찾아내는 일부터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통·반장, 지역 부녀회·노인회와 같은 지역 주민이나 부동산중개업소·식당과 같은 지역밀착형 상점을 ‘고독사 예방 게이트키퍼’로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자살 위험에 처한 주변인 신호를 인식해 기관 연계를 돕는 ‘자살예방 생명 지킴이’와 같은 인적 자원망을 ‘우리 마을 지킴이(가칭)’로 활용한다면 사회적으로 고립된 이들의 위험이 이웃에게 조기 발견될 것이란 구상이다. 또 누구나 쉽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전 국민 위기 알림 신고시스템(가칭)’과 같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만들어 간편 신고체계도 갖춰나가기로 했다. 다세대 주택, 고시원 밀집 지역 등 고독사 취약지역 발굴 조사도 한다.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과 연계해 고독사 위험군을 찾아낼 수 있는 발굴 모형과 위험 정도를 판단할 체크리스트도 개발하기로 했다.
생애주기별 지원도 강화한다. 고독사 중 극단적 선택 비율이 높은 청년 특성(20대 56.6%, 30대 40.2%)을 반영해 청년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한다. 또 청년도전지원사업·일경험지원사업 등 취업 지원에도 나선다. 중·장년층과 노년층에 대해선 각각 맞춤형 생활지원 서비스 등이나 의료 ·건강관리 돌봄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고독사 실태조사 주기를 현행 5년에서 1년으로 줄이고 현재 39개 시·군·구에서 추진 중인 고독사 예방·관리 시범사업은 2027년까지 229곳으로 확대한다. 이기일 복지부 제1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혹시라도 외로움을 느낀다면 잠시 잊고 있던 가족·친구에게 연락하는 것도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라며 “정부는 이번 계획으로 한국 사회에서 고독사가 없어질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채혜선(chae.hyeseo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