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이 아침에] 죽음과 생명의 발견

인간은 시간에 대한 관념을 갖는 특이한 존재다. 그리고 인간만이 유일하게 죽음을 생각하고 영원을 생각하며 나아가 영원한 삶을 소망한다. 요즈음 한국에서는 아름다운 마무리를 위한 웰다잉(well-dying) 수업이 유행한다고 한다. 또한 ‘메멘토 모리’라는 말도 많이 회자하고 있다. 이 말은 ‘자신의 죽음을 기억하라’ 또는 ‘네가 죽을 것을 기억하라’를 뜻하는 라틴어다. 창조주 이외의 존재는 다 죽을 수밖에 없다는 메시지다. 하지만 인간은 반드시 죽는 존재이면서도 자기가 죽는다는 사실을 잊고 살아가고 있다. 필자 역시 평생 멘토로 모시던 김동길 교수님께서 세상을 떠나시면서 자연스레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1998년 가을, 문경새재에 있는 금란정에서 스승님께서 필자에게 성삼문의 사세가를 붓글씨로 써 주셨다.  
 
울리는 저 북소리 목숨을 재촉하네
 
(擊鼓催人命)
 


뒤돌아보니 해도 서산에 걸렸구나
 
(回頭日欲斜)
 
저승길에는 주막 하나 없다는데
 
(黃泉無一店)
 
오늘 밤은 뉘 집에서 쉬었다 갈꼬
 
(今夜宿誰家)
 
38세의 성삼문 (1418-1456)이 단종 복위에 실패하여 노량진 강변의 처형장으로 끌려가면서도 죽음 앞에서 초연한 모습을 보여준 절명시다. 스승님께서 직접 붓으로 써 주신 작품이어서 액자에 넣어 오랫동안 서재에 걸어두었다. 하지만 이 시를 읽을 때마다 마음에 큰 부담을 가졌던 것은 사실이다. 왜냐하면 스승님께서 죽음 앞에서 담대하라는 뜻으로 이 시를 써 주셨는데, 사실 이런 마음의 자세를 갖는다는 것이 필자에게는 불가능하기 때문이었다.  
 
죽음이라는 관문을 어떻게 통과하느냐 하는 문제는 우리가 살아온 세월보다도 훨씬 더 심각한 과제다. 스승님의 가르침에 의하면 죽음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삶이 아무런 가치도 없다고 한다. 삶과 죽음을 하나로 보라는 것이다. 죽음이라는 것은 내가 태어날 때부터 함께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죽음은 괴로움이나 고통보다는 그저 의식이 사라지는 상태가 아닐까라고 추측도 해본다. 잠에서 깨어나지 않는 상태이기에 죽음 자체를 너무 두려워할 필요가 없겠다는 생각도 든다. 왜냐하면 죽음은 모든 사람과 생물에게 공평하게 찾아오는 자연현상이며 필연적인 운명이기 때문이다.  
 
자연 위에 초자연이 있고, 시간 위에 영원이 있고, 죽음 위에 영원한 삶이 있다고 믿는다면 삶의 마지막인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그렇다면 영원한 삶을 얻기 위해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할까. 인간은 사랑으로 영원을 이해할 수 있고, 사랑을 통해서만 영원에 도달할 수 있기에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 그러면 인간은 사랑 때문에 죽어도 영원히 살 수 있는 존재가 된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사랑이시기 때문이다. 죽음의 발견이 곧 생명의 발견이며 생명을 안다는 것이 바로 창조주 하나님을 아는 것이다. 그러기에 인간은 마지막 순간에 하나님이 내미는 손을 붙잡는 것이다.

손국락 / 보잉사 시스템공학 박사·라번대학 겸임교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