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로 모실게요, 은밀하게…백화점 지하에 생긴 '비밀의 방'
마스크 해제와 봄 날씨가 맞물리면서 뷰티 업계, 그중에서도 침체했던 오프라인 뷰티 매장들이 손님 끌어모으기에 나섰다. 무엇보다 매장 안에서 화장품 테스트가 가능해지면서 이를 활용한 서비스가 느는 추세다.
“따로 모실게요”…비밀의 방으로
에스티로더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9월 롯데백화점이 본점 뷰티관을 리뉴얼 오픈하면서 시슬리와 겔랑, 라프레리 등이 별도의 스킨케어 룸을 만들었다. 지난 1월에는 스위스 스킨케어 브랜드 발몽도 합류했다. 이들 스킨케어 룸은 주로 구매 금액이 높은 VIP를 대상으로 제품을 활용한 마사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용도다.
그동안 매장에서 손등이나 얼굴에 살짝 발라보는 수준의 테스트에 그쳤던 고객들의 호응이 높다. 무엇보다 길게는 두 시간 동안 극진한 대접을 받을 수 있어 고객들 사이 ‘돈 쓴 보람이 있다’는 후기가 나오고 있다.
‘풀 메이크업’까지 무료로

대부분 30분~1시간 소요되는 이들 서비스는 모두 무료다. 이런 메이크업 서비스나 스킨케어 서비스는 브랜드 입장에서는 과감한 투자다. 마사지가 가능한 전문가를 고용해야 하고, 메이크업 역시 별도로 교육받은 전문가를 투입하기 때문이다. 차승아 롯데백화점 본점 화장품파트 리더는 “럭셔리 브랜드의 경우 고정 고객이 많아 비용을 들여서라도 이들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본점 지하 1층에 럭셔리 스킨케어 브랜드들이 메인 동선보다 안쪽에 위치한 것도 독립적인 상담을 고려한 것”이라고 말했다.
직접 발라봐야 안다, 오프라인의 반격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가 조사한 명품 화장품 채널별 점유율을 봐도 이커머스는 2017년 12.8%에서 2021년 21%까지 늘었다. 반면 백화점 채널은 같은 기간 58%에서 50.5%로 축소했다.〈그래픽 참조〉

지난 2021년엔 무신사가, 지난해에는 컬리가 뷰티 버티컬(특정 카테고리 전문) 서비스를 시작했고, 2020년에는 쿠팡도 명품 화장품 브랜드 온라인숍 ‘C.에비뉴’를 론칭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도 샤넬·디올·톰포드·에르메스 등 약 90개 브랜드가 입점해 1500여개 상품을 판매하는 대형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이에 맞서 오프라인 뷰티 업계는 ‘체험 후 구매한다’는 성향이 강한 화장품 분야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립스틱 컬러가 얼굴색에 맞을지, 크림을 발랐을 때 피부 트러블이 생기지 않을지를 매장에 직접 나와 시험해 보려는 소비자들을 공략한다는 얘기다. 화장품 업계 관계자는 “실내 마스크 착용이 해제되면서 자유롭게 매장에서 테스트가 가능해졌고, 매장이 부쩍 북적이고 있다”며 “명품 화장품도 온라인으로 쉽게 배송받을 수 있는 시대에 매장에 나오는 고객을 위한 차별화 서비스는 앞으로도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지연(yoo.jiyoe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