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성장률, 인구 감소…중국 고도성장 저문다
중국이 문화대혁명 마지막 해였던 1976년 이후 두 번째로 낮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했다. 중국 인구도 대기근에 허덕인 1961년 이후 60년여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했다. 중국발 경제 쇼크에 한국의 수출 전망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 당국이 지난해 3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설정한 목표치인 5.5%에는 한참 못 미쳤다. 실제 수치와의 격차인 2.5%포인트는 1994년 성장률 목표치를 설정하기 시작한 이후 최대치다. 지금까지 중국이 목표 달성에 실패한 경우는 1998년(-0.2%포인트)과 2014년(-0.1%포인트) 두 차례에 불과하다.
저조한 성장률은 지난해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은 ‘제로 코로나’ 정책의 영향이 절대적이라는 평가다. 중국의 연간 GDP 성장률은 팬데믹으로 인해 2019년 6%에서 2020년 2.2%로 크게 위축됐다가 2021년엔 기저효과에 힘입어 8.4%로 올라섰다. 하지만 지난해 4~5월 상하이 전면 봉쇄를 비롯해 강도 높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집하면서 중국 경제는 부동산 침체, 내수 타격 등으로 깊은 침체에 빠졌다. 결국 중국 당국은 지난해 12월에 들어서야 ‘위드 코로나’로 전환했지만 경기 반등 효과는 미미했다.
미국 CNN에 따르면 중국은 봉쇄 정책의 여파로 경제 위축과 함께 세수가 줄면서 정부 재정에 ‘빨간불’이 켜졌다. 중국에서 가장 부유한 지방정부인 광둥(廣東)성은 최근 3년간 코로나19 방역에 총 1468억 위안(약 27조171억원)을 지출했다는 예산 보고서를 공개했다. 베이징 정부는 지난해 코로나 방역에 300억 위안(약 5조5212억원)을 사용했고, 푸젠(福建)성은 지난해 방역 비용으로 전년 대비 56% 늘어난 130억4000만 위안(약 2조4000억원)을 썼다.
캉이(康義) 중국 국가통계국 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분기별로 보면 1분기 4.8%, 2분기 0.4%, 3분기 3.9%, 4분기 2.9% 성장했고, 4분기 국내총생산은 3분기와 같았다”며 3~4분기 수치가 비슷했다고 강조했다. ‘제로 코로나’에서 ‘위드 코로나’로 극과 극을 오갔던 4분기 방역정책이 경제에 끼친 영향을 축소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사실상의 침체’에 빠졌다고 보고 있다.
“중국 사실상 경기침체”…한국수출 23% 중국 의존해 ‘비상’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경제 규모를 고려하면 3% 성장률은 사실상의 침체로 평가해도 무방한 수준”이라며 “중국 부동산 경기는 침체에서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았고 소비 심리, 내수 경기, 투자 등 모든 분야가 최악이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는 “예상보다 빠른 인구 감소는 신규 주택 등에 대한 수요 둔화로 경제성장에 타격을 입힐 수 있다”며 “이는 중국 경제가 규모에서 미국을 따라잡는 것이 힘겨울 수 있고, 올해 최대 인구 대국 지위를 인도에 빼앗길 수 있다”고 평가했다.

관건은 중국의 올해 성장률이다. 전문가들은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春節) 직후 코로나 확진자가 정점을 찍은 뒤 올 상반기 중에 중국 경제가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동수 산업연구원 해외산업실장은 “상반기에 중국이 코로나를 극복하고 내수 경제가 잘 회복한다면 한국에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박상현 연구원은 “아직 부동산 부실 리스크가 여전하고, 미·중 갈등에 따른 ‘차이나 런’ 우려도 중국 경제의 안정적 회복에 장애물”이라고 분석했다.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도 “장기적 관점에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있어 경제 발전 속도가 점점 더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경진.나상현.서유진(shin.kyungji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