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천국' 강남 아니네…'평균 연봉 2520만원' 동네의 반전

지난 16일 오전 9시 인천 연수구 송도 중심가에 있는 아우디 전시장이 일찍부터 불을 밝혔다. 인근 600m 거리에 있는 재규어 랜드로버도 영업 중이었다. 여기서 4㎞쯤 떨어진 해안도로 옆에는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지어진 국내 최대 규모의 BMW 복합문화센터가 2018년 5월 문을 열었다. 자동차 판매뿐 아니라 음악 공연과 미술 전시도 열린다.
송도국제도시를 끼고 있는 인천 연수구는 수입차 업계에서 ‘신격전지’로 불린다. 고급 주상복합단지가 10여 년 전부터 자리를 잡고 있는 데다 최근엔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같은 바이오‧제약회사에서 고액 연봉자가 늘면서다. 한 수입차 업체 관계자는 “억대 연봉을 받는 직장인들이 주요 고객”이라고 귀띔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연수구에는 수입차가 7만 대가 등록돼 있다. 인구 38만 명 도시에 5명당 1대꼴이다. 이 정도면 두세 집 건너 한 대씩 수입차를 소유한 것으로 추산된다.
현대차 공장 있는 울산이 등록률 꼴찌


기초 시·군·구로 쪼개면 인구 수 대비해 수입차 등록 비율이 2대 중 1대를 넘은 곳도 있었다. 부산 중구는 수입차 비율이 50.9%였다. 등록된 수입차가 2만184대로 인구 3만9689명 대비해 비율이 가장 높았다. 대구 중구(30.9%)와 부산 연제구(22.4%) 등도 수입차 등록률이 높았다.
판매 늘며 수도권→전국으로 영업망 확장 중
이에 따라 수입차 업체들은 수도권을 넘어 전국으로 영업·서비스망을 확대하고 있다. 스텔란티스의 지프는 최근 대구 동구에 연면적 4000㎡ 크기로 서비스센터를 확장 이전했다. 대구의 인구당 수입차 등록률은 8.1%로 17개 시도 중 2위였다. 스텔란티스 관계자는 “서비스 만족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차원”이라고 말했다.
“‘수입차=사치재’ 인식 사라져”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차 판매량은 28만3435대로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반도체 부품 수급 영향으로 현대차·기아는 전년 대비 2.5% 감소했지만, 수입차는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수입차에 2000만원대 모델도 등장하는 등 사치재라는 인식이 사라지고 있다”며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친환경차 판매가 증가하면서 판매량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민상(kim.minsang@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