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밑돈 국고채 3년물…“시장, 하락 베팅”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금리의 지표가 되는 국고채 3년물 금리는 13일 전날 대비 0.097%포인트 하락한 3.369%에 장을 마쳤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과는 반대의 흐름이다. 이는 지난해 8월24일(3.311%) 이후 약 5개월 만에 가장 낮을뿐더러, 기준금리(3.5%)를 밑도는 수준이다. 이날 1년물을 제외한 다른 국고채 금리도 모두 기준금리를 밑돌았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금통위 직후 국고채 3년물이 장중 3.34%에 거래되면서 기준금리를 크게 하회했다”며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와 물가하락 가능성에 금리 하락에 대한 베팅이 확대된 것”이라고 풀이했다.
이 총재는 13일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금리를 동결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하면 곤란하다”며 공식적인 금리 인상 종료 선언을 꺼렸다.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도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했다. 하지만 시장은 이를 기대 인플레이션 관리나 환율 안정 등을 위한 의도적인 매파(통화 긴축 선호) 발언으로 해석했다.
근거는 우선 눈에 띄게 달라진 통방문이다. 앞선 지난해 11월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는 문구가 “긴축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는 문구로 바뀌었다. 신호가 분명한 ‘금리 인상’ 대신, 의미가 포괄적인 ‘긴축’이라는 표현을 쓴 것이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통방문에서 ‘외환 부문 리스크’ 문구가 삭제됐고, 대내 요인 중 경기 하방 리스크가 크게 부각된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한국은행의 무게 추가 점차 물가에서 경기로 기울어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한미 금리차 부담에 대해 “기본적으로는 국내 상황을 보면서 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 금리 결정은 국내 상황을 우선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8월 “한국 통화정책은 정부로부터 독립했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으로부터는 완전히 독립하지 못했다”는 발언과는 결이 다르다. 시장에서 ‘연준보다 먼저 금리를 내릴 수 있다’고 읽히는 부분이다. 이 총재는 금통위원의 의견을 소개하면서 지난번에는 “3.75%로 올라갈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밝혔다. 반면 13일에는 “상황에 따라서”라는 어구가 추가됐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한은 총재의 기자회견은 예상보다 비둘기파적인 면이 다수 노출됐다”며 “특히 장단기 금리 역전을 용인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금리 인하 기대를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여 국내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마무리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강승원 연구원은 “(통방문에서) 당분간 금리 인상 효과를 점검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힌 점에서 적어도 ‘연속 금리 인상의 시대’는 끝났다”라며 “2월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이 없다면 추가 인상 여부는 4월에 결정될 것이며, 결국 1분기 지표가 핵심 결정 변수”라고 분석했다.
손해용(sohn.yong@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