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 서민대출 더 조인다…기준금리 인상에 역마진 우려 계속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저신용·저소득자의 대출 어려움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출금리가 법정 최고금리(연 20%)로 묶여 있는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제2금융권 자금조달 비용이 더 높아질 수 있어서다. 제2금융권, 플랫폼 대출 중단 계속

특히 DGB캐피탈·웰컴 캐피탈은 이달 말까지 외부 플랫폼을 통한 대출신청을 제한했다. OK캐피탈 같이 3월까지 대출 신청을 받지 않는 곳도 있었다. 캐피탈 업계 1위인 현대캐피탈은 지난해 말부터 외부 대출 비교 서비스를 통한 신규 대출 영업을 전면 중단했다. 예가람·대신·고려·DB저축은행 같이 ‘햇살론’ 신청마저 받지 않는 곳도 있었다. 햇살론은 신용등급 및 소득이 낮아 제도권 금융이 어려운 서민에게 서민금융진흥원이 대출 보증을 지원하는 정책금융상품이다.
서민 대출의 마지막 보루인 대부업체도 대출 조이기에 동참 중이다. 업계 1위인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 앤 캐시)은 지난해 26일 신규 대출 중단 선언했다. 업계 2위인 리드코프도 지난해 10월 신규 대출을 줄이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현재 기존의 20% 수준으로 신규 대출을 내주고 있다.
수신금리 급등에 햇살론 마저 중단
![대부업체 홍보전단. [중앙포토]](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3/01/15/833b4553-5571-4e01-aca7-f469a942d4da.jpg)
일각에서는 법정 최고금리를 올려 제2금융권의 대출 숨통을 틔워줘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정부와 정치권의 반대 기류가 커 쉽지 않다. 현재의 법정 최고금리(연 20%)도 일반 국민 눈높이에선 충분히 높은 데다, 정부가 나서서 고금리를 종용한다는 비판 때문이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제2금융권의 대출 마저 중단되면 저신용·소득자들은 불법 사금융에 몰릴 가능성이 높다”면서 “법정 최고금리를 기준금리와 연계해 탄력적으로 조정해줘, 이들에 대한 제도권 대출이 끊어지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남준(kim.namju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