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진에 금리 인상 페달 뗄까...'여전히 고물가' 신중론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연속 ‘베이비 스텝(기준금리 0.25% 포인트 인상)’을 밟은 13일 시장의 관심은 ‘금리 인상 종료’ 시점으로 옮아갔다. 당장 이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2명은 기준금리 동결을 주장했다. 커지는 경기 침체 경고등과 기업·가계의 이자 부담 심화를 고려해 이제 금리 인상 페달에서 발을 뗄 시기가 왔다는 소수의견이 나왔다. 다만 여전히 높은 물가와 한·미 기준금리 역전 폭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경기 부진에 금리 인상 폭 조절
한은 금통위는 이날 새해 첫 통화정책결정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한 연 3.5%로 정했다. 7회 연속 기준금리 인상이다. 5%대 상승률로 여전한 고물가가 주원인이었다. 한‧미간 기준금리 차이도 추가 인상을 떠밀었다. 이날 금통위 회의 전까지의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 폭은 지난 2000년 10월(1.5%포인트) 이후 약 22년 만에 가장 컸었다.
금리 역전 폭 확대는 자본유출 등으로 한국 경제에 부담을 지울 수 있다. 실제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외국인 증권(주식·채권) 투자자금은 24억2000만 달러 순유출됐다.


‘금리 인상기 종료’ 언제

이형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물가가 아직 높은 수준이고 미국의 금리 향방도 고려해야겠지만 현재 경기 상황을 보면 금리를 섣불리 더 올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가계의 금리 부담에 따른 내수 부진 가능성, 글로벌 경기 부진 여파 등을 고려하면 현재 기준금리는 정점에 다다른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소비자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점이 금리 인하 종료 시기를 늦출 변수로 꼽힌다. 한·미 기준 금리 역전 현상도 여전히 안심할 상황이 아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31일~2월 1일(현지시각)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만 올리면 한·미 기준금리 역전 폭은 다시 1.25%포인트로 돌아간다. 지난해 11월 24일 한은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미국과의 금리 역전 폭이 일정 수준을 넘어 커지면 외환 부문의 리스크가 재차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일각에서 나오는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이 총재는 일단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물가가 정책목표 수준까지 중장기적으로 수렴한다는 확신이 있기 전까지 금리 인하를 이야기하기는 시기상조”라고 답했다.

수신 금리 인상 효과 미미할 듯
하남현(ha.namhyu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