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굴’에 빠지는 한국 경제…전문가들 “저성장 고착화 원년 될 것”
경제·경영 전문가들은 한국의 올해 경제 상황을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빗대 ‘토끼굴에 빠진 경제 상황이 될 것’(Down the rabbit hole)이라며, 어둡고 혼란스러운 상황에 빠질 것을 우려했다.1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대학교수와 공공·민간연구소 연구위원 등 전문가 85명을 대상으로 ‘2023년 경제 키워드 및 기업환경 전망’을 조사한 결과다.

올해 국내 경제 분야의 가장 큰 리스크로는 고금리 상황(24.5%)을 꼽았다. 이어 ▶고물가·원자재 가격 상승세 지속(20.3%) ▶수출 둔화·무역적자 장기화(16.8%) ▶내수경기 침체(15%) ▶미·중 갈등 등 지정학 리스크(13.8%) 순이었다.
그렇다면 미궁에 빠진 한국 경제는 어디에서 활로를 찾아야 할까. 전문가들은 반도체를 이을 ‘차세대 먹거리’ 찾기가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배터리(21.2%)와 바이오(18.8%), 모빌리티(16.5%), 인공지능(10.6%) 등이다. 정부는 미래 전략산업 육성(25%)과 자금·금융시장 안정(23.8%)에 중점을 둬 경제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성훈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주력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바이오·방산·친환경 에너지 등 신산업을 키워서 국가 경쟁력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고석현(ko.sukhyu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