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숏폼 왕' 틱톡, 모바일 지배자냐 ‘디지털 마약’이냐 [팩플 오리지널]

[The JoongAng Plus - 팩플 오리지널] 기로 놓인 숏폼
틱톡 로고.
숏폼 비디오 플랫폼 ‘틱톡’을 향한 미국의 제재가 연일 강세다. 지난해 말 미 의회에서는 연방 정부 소유 스마트폰 등 공공 기관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됐고, 9일 뉴저지와 오하이오가 합류하면서 틱톡을 금지한 주 정부도 16곳으로 늘었다. 민간에서도 틱톡을 전면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도 발의된 상태다. 트럼프 행정부에 이어 바이든 정부에서도 두드려 맞는 틱톡, 그 이유는 보면 크게 두가지.

바이든까지… 틱톡을 왜?
하나는 틱톡의 본사 바이트댄스가 중국 기업이란 점이다. 바이트댄스가 미국 내 틱톡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고, 이 데이터가 중국 당국으로 넘어가면 미국의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다. 지난해 6월 틱톡이 미국 사용자 데이터를 오라클 클라우드로 이전했지만, 지난달 틱톡 직원이 포브스·파이낸셜타임스 기자 계정 데이터에 무단 접근했다 해고된 사실이 알려지는 등 의심을 거둘 수 없는 상황이다.

다른 하나는 청소년 문제다. 2017년 출시돼 2020년부터 3년 연속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앱 1위를 지키고 있는 틱톡(6억 7200만 회)은 10대의 절대적 지지를 받고 있다. 월 사용자(MAU) 10억명 중 25%가 20대 미만일 정도. IT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2021년 기준 4~18세의 일평균 틱톡 시청 시간은 91분으로 유튜브(56분)를 크게 앞질렀다. 한국 상황도 비슷하다. 모바일 분석기업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국내 틱톡 사용 시간은 19억분으로, 2년 전 8억분 대비 155% 성장했다.

지난해 틱톡에서 유행한 챌린지. 왼쪽부터 ‘지구방위대’ 챌린지, ‘러브 다이브’ 챌린지, ‘지글지글’ 챌린지. 사진 틱톡
이들을 붙드는 힘은 틱톡의 남다른 알고리즘이다.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 메타가 운영하는 SNS가 지인 중심의 관계망을 기반으로 사용자들을 끌어 모았다면, 틱톡은 철저히 관심사 기반이다. 사용자가 ‘좋아요’를 눌렀거나 방금 본 영상을 참고해 좋아할 만한 영상을 이어서 추천하는 방식으로 틱톡에 푹 빠지게 만들었다.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고, 챌린지를 통해 더 많은 사람의 참여를 촉진했다. 이렇게 틱톡이 숏폼 시장을 장악하자, 유튜브(쇼츠)·인스타그램(릴스) 등 미국의 SNS 기업들도 질세라 숏폼 시장에 뛰어 들었고, 틱톡에 위협을 느낀 페이스북은 지난해 6월 지인보단 관심사 기반 추천 알고리즘을 강화했다.



중독성 알고리즘, 중국선 다르다?
하지만 이같은 중독성 강한 알고리즘은 틱톡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기도 하다. 뉴욕타임스는 “사용자를 탈출하기 힘든 토끼굴로 몰아넣는다”고 지적했고, 마이크 갤러거 미 하원의원은 틱톡을 마약성 진통제에 빗대 ‘디지털 펜타닐’이라고 주장했다. 영미권 비영리단체 ‘디지털 혐오 대응 센터’는 틱톡 알고리즘이 미성년자에게 섭식 장애·자살 등과 관련된 유해 콘텐트를 추천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틱톡을 휩쓴 ‘기절 챌린지’로 2년간 15명이 사망하면서 관련 소송도 쏟아지고 있다.

반면, 틱톡의 중국판 ‘더우인’은 노선이 다르다. 중국에선 14세 미만은 하루 40분 이상 틱톡을 쓸 수 없고 알고리즘도 과학 실험이나 박물관 방문, 애국심 혹은 교육적 영상 위주로 촘촘하게 짜여 있다고 한다. 구글 출신 디자인 윤리학자 트리스탄 해리스는 “중국이 자국에선 건강에 좋은 시금치 버전을 사용하게 하면서, 해외에는 마약 버전을 수출한다”고 지적했다.

유럽이 때리는 메타, 맞춤형 광고 개편
미국이 틱톡을 때리는 가운데, 유럽에선 메타가 집중 포화의 대상이다. 유럽연합(EU)이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을 근거로 미국 SNS 기업들에 거액의 과징금이 부과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다. 지난 4일 아일랜드 데이터보호위원회는 이용자들이 SNS에 가입할 때 맞춤형 광고에 동의하도록 한 메타의 조항을 문제 삼아 3억9000만 유로(5255억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메타의 핵심 수익 모델이 존폐 위기에 놓인 것.

그러자 메타는 개인정보 및 청소년 보호 조치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9일 인종ㆍ성별 등과 관계없이 공정한 광고를 촉진하는 기술을 선보이겠다고 밝힌 데 이어 10일 청소년을 타깃으로 한 광고 제재 강화 방침을 밝혔다. 광고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들의 개별 인구 통계 정보를 학습하지 못하도록 ‘소음’ 기술을 도입하겠다는 설명이다. 다음 달부터 광고주가 10대 사용자의 성별이나 관심 콘텐트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광고는 금지되고, 나이와 위치 기반 광고만 허용된다.

팩플 오리지널
‘팩플 오리지널’ 연재 콘텐트는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구독 서비스인 The JoongAng Plus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plus



민경원.김인경(storymin@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