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조선, 세계 선박 발주량의 38% 따내 2위
지난해 K-조선업체들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의 4할 가까이(38%)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49%)에 이어 세계 2위다.
조선 업체별로 그간 쌓인 일감을 뜻하는 수주 잔량(지난해 말 기준)은 전월 대비 48만CGT가 감소한 1억814만CGT(3742척)였다. 수주 잔량 역시 중국이 4788만CGT(44.3%·1891척)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한국이 3750만CGT(34.6%·715척)로 2위, 일본은 1001만CGT(9.3%·508척)로 3위였다. 한·중·일 세 나라의 수주 잔량이 전 세계 물량의 88%가량을 차지한다. 한국의 수주 잔량은 전년 말보다 24.5%, 중국은 14.7%가 각각 증가했다. 조선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처럼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큰 선박을 중심으로 수주 물량을 채우고 있어 수주의 질 자체는 중국 등 경쟁 업체보다 훨씬 높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 조선 업계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저가 수주 논란도 조금씩 나아질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정기선 HD현대 대표는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가전쇼(CES) 2023 현장에서 한화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로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던 ‘저가 수주’ 우려가 사라질 것이란 기대감을 드러낸 바 있다.
이수기(lee.sooki@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