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올해도 성과급 잔치…당국 ‘대출금리’ 손본다
주요 은행이 지난해 높은 실적을 올리며 직원에게 기본급의 300~400%에 이르는 성과급을 지급할 전망이다. 금리가 상승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이자 수익을 봤기 때문이다. 반면 금융소비자 입장에선 영업시간 등 은행이 제공하는 편의 서비스가 예전 같지 않아 불만이 쌓이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최근 경영 성과급으로 기본급의 361%를 책정했다. 2021년 성과급은 300%였는데, 지난해 실적을 반영해 61%포인트 상향했다. 300%는 현금으로, 61%는 우리사주로 지급한다.
NH농협은행은 기본급의 400%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하기로 했다. 지난해(350%)보다 50%포인트 늘었다. 이들 은행은 대부분 직군의 임금 인상률도 높였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현재 성과급 수준을 논의 중이다. 지난해 하나은행은 이익 연동 특별성과급으로 기본급의 300%를 지급했고, 우리은행은 기본급의 300%에 100만원을 추가로 지급한 바 있다.

이익도, 성과급도 늘었지만 은행 서비스는 개선되지 않아 소비자 불만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 불편이 특히 큰 부분은 짧은 영업시간이다. 은행권은 2020년부터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영업시간을 당초 오전 9시~오후 4시에서 오전 9시30분~오후 3시30분으로 1시간 단축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뒤에도 지금까지 영업시간을 원상 복구하지 않고 있다. 은행권은 노사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까지 해제된 이후 영업시간 논의를 하기로 했기 때문이란 이유를 들었다.
![기준금리 인상에도 뒷걸음 친 예금금리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은행연합회, 한국은행]](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3/01/09/e214b99e-327b-4689-997b-ec735c005cbc.jpg)
한편 8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최근 시중은행 대출 금리에 대한 점검 강화를 통한 대출 금리 인상 억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최근 대출 금리가 계속 오르며 “은행만 배불리고 있다”고 있다는 불만이 커지자 다시 개입에 나선 것이다.
지난 3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5.27~8.12%를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이후 15년 만에 연 8%대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다시 등장했다. 반면 주요 시중은행에서 연 5%대 예금 금리 상품은 자취를 감추고 있다. 지난해 11월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수신 금리 인상을 자제하라고 공개적으로 압박한 이후부터다.
이로 인해 예금 금리 상승은 억제됐지만, 대출 금리의 상승 방향을 되돌리지는 못했다. 결과적으로 서민의 대출 이자 부담은 줄이지 못하고 은행 이익만 늘렸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이에 당국이 부랴부랴 대출 금리 개입에 나선 모습이다.
다만 예금 금리 인상을 등 떠밀다가 돌연 정반대 성격의 주문을 하는 등 정책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금리 수준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은 시장 왜곡에 따른 이상 현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임성빈.하남현(im.soungbi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