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블라인드'로 뽑은 신입, 나이가 40대 후반…면접관마저 놀랐다

최근 한 핵심 공공기관에 40대 후반 A씨가 신입 직원으로 합격했다. 외국계 회사에서 일한 경력에, 전문 자격증까지 딴 그는 서류 전형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면접에서는 ‘블라인드 채용(나이·성별·학력 등 차별 요소를 배제하고 직무 능력 중심으로 채용하는 것)’ 때문에 나이를 알지 못했던 면접관들이 A씨를 직접 만나고 크게 당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공공기관 관계자는 “보통 신입 직원과 A씨의 나이 차가 거의 20년 가까이 나다 보니 면접관이 놀라긴 했다. 그래도 입사에 문제가 되진 않았다”면서도 “다만 나이가 워낙 많다 보니 말단 직원 생활에 잘 적응할지, 잠깐 경력만 쌓고 다른 민간기업으로 이직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다”고 전했다.

블라인드, 공정 채용엔 “가장 효과적”
문재인 정부가 지난 2017년 공공부문에 전면 도입한 블라인드 채용이 올해 시행 6년째를 맞이하면서 현장을 중심으로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현재 350개 중앙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 410개에서 블라인드 채용이 진행 중이고, 민간 기업도 블라인드 채용을 일부 도입하고 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블라인드 채용은 공정한 채용 문화를 확립한다는 측면에서는 장점이 많다. 국민권익위원회가 2020년 실시한 ‘채용 공정성 체감 인식도 조사’에서 취업준비생과 공공부문 근로자 5938명 중 45.0%는 ‘채용 공정성 확립’의 가장 효과적인 정책으로 블라인드 채용을 꼽았다. 실제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하지 않은 1988년부터 2014년까지 강원랜드가 채용한 직원 중 임직원과 친인척 관계에 있는 근로자는 942명에 달했지만, 2015년 블라인드 채용 이후에는 9명뿐이라는 자료도 있다.

학력·나이 등에 치우치지 않는다는 점도 블라인드 채용의 장점으로 꼽힌다. 한국노동연구원이 255개 공공기관 채용 담당자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5가지 인적 속성(출신 지역·출신학교·나이·성별·외모)에서 블라인드 채용 이후, 신입 직원의 다양성이 ‘높아졌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보안·높은 이직·우수 인재 유치는 문제
문제는 조직 특성과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도입하다 보니 다양한 부작용을 발생한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 2019년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중국 국적자를 연구원으로 선발했다가 뒤늦게 불합격 처리해 논란을 샀다. 블라인드 채용으로 지원자 출신을 알 수 없어, 최고 등급의 국가보안시설에 외국인을 채용한 웃지 못할 ‘해프닝’이 발생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전경. 중앙포토

절차적 공정성만 강조하다 보니, 오히려 직무에 적합한 사람을 채용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 지난 2020년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공공기관 채용정책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한 일부 공공기관과 공기업에서 1년 내 퇴사율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블라인드 채용 도입에 필기시험 비중이 커져 과거 고졸 출신이 수행했던 업무를 고득점을 받은 대졸 출신이 차지하게 됐고, 낮은 업무 만족도에 이직이 잦아졌기 때문이다. 실제 해당 연구에 참여했던 한 공공기관 인사 담당자는 “단순 반복적 업무에 고학력자를 배치하다 보니 한때는 신입사원 이직률이 26%까지 높아진 적도 있다”면서 “이런 사람들은 더 높은 보수 등 나은 조건 찾아 철새처럼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했다.

블라인드 채용에서 차별적 요소로 꼽히는 학력·학점 같은 이른바 ‘스펙’을 일부 기관과 기업에서는 오히려 더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우수 인재 유치가 필요한 국책 연구기관 39곳은 윤석열 대통령 지시로 아예 올해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폐지하기로 했다.

민간서도 찬반 엇갈려…“합리적 안 찾아야”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이 같은 명확한 장단점 때문에 민간 부문에서 블라인드 채용 도입을 놓고도 의견이 엇갈린다. 인크루트 조사에 따르면 민간 인사담당자들은 블라인드 채용 도입에 대해 ▶매우 찬성(8.8%) ▶약간 찬성(42.8%) ▶약간 반대(32.0%) ▶매우 반대(16.4%)로 찬반이 팽팽하게 나뉘었다. 찬성하는 이유로 ‘모두에게 균등한 고용기회를 주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55.0%)’이라는 답이 가장 많았지만, ‘직무 전문성과 경쟁력을 제대로 판단하기에는 역부족(38.4%)’과 ‘채용기준이 일관되지 않을 것(21.2%)’ 등의 반대 응답도 있었다.

정연우 인크루트 브랜드커뮤니케이션 팀장은 “블라인드 채용의 장단점이 명확하다 보니 인사 담당자 사이에서도 찬반 의견이 팽팽한 것”이라며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좋다 나쁘다를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힘들며, 각 회사의 여건에 맞춰 합리적인 안을 찾는 것이 좋다”라고 말했다.



김남준(kim.namjun@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