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산업기술인력 1.4% 증가…인력수요 많은 탓에 부족인원도↑

산업통상자원부가 29일 발표한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에 따르면 근로자 10인 이상 사업체에서 연구개발, 기술, 생산, 정보통신 업무에 종사하는 산업기술인력은 168만142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1.4% 증가한 수준이다. 산업기술인력은 증가세를 유지하다 2020년에 0.9% 감소한 뒤 지난해 다시 증가로 돌아섰다.
부족 인원 역시 3만7667명으로 전년보다 3.3% 늘었다. 부족 인원은 사업체의 정상적인 경영과 생산 시설 가동을 위해 현재보다 더 필요한 인원을 말한다.
부족률은 2.2%로 5년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기계,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12대 주력산업의 산업기술인력은 111만5526명으로 1.5% 증가했다.
부족 인원은 2만8709명으로 전년보다 2.3% 늘었다. 부족률은 2.5%로 4년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산업부는 코로나 확산이 진정돼 산업기술인력 증가세가 회복된 것과 동시에 12대 주력산업의 인력 수요도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바이오·헬스와 소프트웨어는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했지만 인력 부족률이 각각 3.4%와 4.0%에 달해 다른 주력산업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채용된 산업기술인력은 14만2840명으로 8.4% 증가했다.
구인 인력은 4.1% 늘어난 15만678명으로, 채용·구인 인원 모두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증가 폭은 통계 집계 이래 최대였다.
채용 인력 중에는 경력자의 비중이 상승하면서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은빈(kim.eunbi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