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항모·핵잠수함 대만 포위 훈련 가세"...중간선 도발도 계속

中 항모ㆍ핵잠수함 가세...대만해협 중간선 ‘도발’

중국 군사 매체에 따르면 랴오닝함은 지난달 31일 모항인 칭다오항을 떠났다. 두 번째 항공모함인 산둥함도 1일 하이난 기지를 출발한 것으로 관측됐다. 또 다른 군사전문가 장청(張誠)은 “랴오닝함과 산둥함 등 2척의 항공모함이 대만 남북으로 접근해 이중 항공모함 편대를 편성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앞서 중국 측은 이번 훈련을 오는 8일 오전 10시까지로 연장했다.
중국의 대만 봉쇄 훈련에 대비해 미국은 필리핀 북부 해역에 로널드 레이건 항공모함과 항모 강습단을 배치한 상태다. 필리핀 해역은 대만에서 약 200㎞ 아래 위치해 있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은 “레이건호에 대해 당초 예정된 것보다 좀 더 오래 해당 지역에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미ㆍ중 항모가 대만을 둘러싸고 정면 대치하는 양상이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2~3일)에 반발해 대만 포위 군사훈련에 나선 중국은 이날도 대만해협 중간선을 넘나들며 도발을 이어갔다. 대만 국방부는 “오전 11시(현지시간)를 기해 중국 군용기와 군함 수척이 대만 해협 주변과 중간선을 넘어왔다”며 “갈등을 고조시키지 말고 전쟁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견지하라”고 경고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날 대만 해협 중간선을 넘어선 중국 함선은 약 10여척, 전투기는 약 20대였다. 대만 해협 중간선은 1954년 12월 미국과 대만 간 상호방위 조약을 체결한 뒤 1955년 중국과 대만의 군사적 충돌을 막기 위해 합의된 것으로 중국과 대만 사이의 실질적 경계선으로 여겨지는 곳이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오후 펠로시 의장과 직계 친족에 대해 제재 조치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펠로시 의장이 “중국의 엄중한 우려와 결연한 반대를 무시한 채 대만을 방문해 중국의 주권과 영토 완전성을 해쳤다"며 “악랄한 도발 행위에 대해 관련법에 따라 제재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21년 6월 시행된 '반(反) 제재 외국법'을 적용한 것으로 제재 내용은 입국과 비자 발급 불허, 중국 내 부동산에 대한 차압 또는 동결 등이 포함된다.
최초 대만 상공 넘은 미사일...“방공 경보 왜 안 울렸나” 논란

직후 대만 국방부는 중국 측 미사일 발사를 조기 경보망이 감지했으며 미사일은 대만 상공을 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런데 일본 방위성의 관측은 달랐다. 자국 배타적 경계수역(EEZ)에 5발이 떨어졌으며 이중 4발은 대만 본섬 상공을 넘었다는 것이다.

일부 대만 시민들은 “미사일이 대만을 통과했다는 사실을 공개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이냐”며 “레이더가 형편없는 것 아니냐”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中 국방부 "미-대만 결탁에 대한 엄정한 압박"

동시에 이번 훈련의 의미를 중국 관영 매체를 동원해 집중 부각하고 있다. 멍샹칭(孟祥靑) 중국 국방대 교수는 CCTV에 출연해 훈련에서 3가지가 최초로 실시됐다고 말했다. 대만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훈련이 이뤄졌고 대만을 포위하는 수준으로 진행된 최초의 훈련이었으며 미사일이 처음 대만 본토를 횡단해 동부 해역을 실제로 타격했다는 것이다.
특히 멍 교수는 “대만 해협 동부에 떨어진 둥펑 15 미사일은 미 레이건 항모의 후퇴를 강요하기 위한 것이었다”며 “대만해협 훈련은 항모의 접근 억제와 대만 통일 전쟁 시 제일 처음 동원될 장거리 로켓포 집중 투하, 최신 전투기의 영공 방어 등 입체적 군사 전략을 그대로 시연했다”고 강조했다.
장쥔서 연구원도 환구시보에 중국의 미사일이 “대만의 (미사일 요격용) 패트리엇 미사일이 밀집된 지역을 통과해 미국 이지스함의 눈앞에서 목표물을 명중시켰다”며 “상대가 막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상대는 막을 수도 없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주장했다.
박성훈(park.seonghu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