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으로 산불 화재 2배…인명피해 큰 산업시설 화재도 급증
![소방관들이 울산 공장 폭발사고 화재현장에서 화재를 진압하고 있기 위해 물을 발사하고 있다. [사진 소방청]](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2/07/25/b51b28b0-9054-436c-a85b-afad4f2893c3.jpg)
소방청은 25일 ‘2022년 상반기 화재 발생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에서 발생한 화재 건수는 2만2204건이었다. 2021년 상반기와 비교하면 15%(2903건) 증가했다.

소방청, 상반기 화재 통계분석 결과 발표
이에 대해 소방청 관계자는 “연초 50년 만에 최악의 겨울 가뭄이 덮치고, 초여름에도 평년 대비 7% 수준의 비만 내리는 등 기후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며 “여기에 국지적 강풍 등 이상기후도 상반기 산불·들불 화재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위험물 관련 화재 건수도 19건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동일한 장소에서 발생한 화재가 10건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90.0% 늘어난 수치다.
산업시설 화재는 다른 화재에 비해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 올해 산업시설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162명이었다. 이렇게 산업시설 화재가 증가하면서 상반기 인명피해(1356명)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7% 증가했다. 사망자 189명, 부상자 1167명이다.
이일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위험물·가스제조소 등 산업시설에서 인명피해가 증가한 만큼 사업주 등 안전책임자는 화재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화재 안전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산업시설 화재는 다른 화재에 비해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사진 소방청]](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2/07/25/fecb3fca-e980-4631-88d6-492e6c8ce9f2.jpg)
서울 소방 119 구급대 출동체계 개편

반면 재산피해(5114억원)는 오히려 지난해 상반기 대비 37.2%(3027억원) 감소했다. 이에 대해 이중기 소방청 화재대응조사과장은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 대응 단계에서 대규모 인력·장비를 출동시키고, 화재 출동 시간을 단축해 화재를 일찍 진압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전반적으로 상반기 재산피해 규모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재난현장 인명구조 대응력 강화를 위해 14개 소방서의 구조대 출동체계를 개편했다. 현행 조당 7명으로 이뤄진 구조대를 8명 체계로 바꿨다. 3조 2교대로 출동했던 구급대도 4조 2교대로 전환했다. 또 금천소방서에 119구급센터를 설치했다. 이 밖에 일부 출동대를 선별해 3조 1교대 근무체계도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지난 5월 울산 공장 폭발사고 화재현장. [사진 소방청]](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2/07/25/e8465a60-3bef-4caf-ad4b-251e8c55992f.jpg)
최태영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시민 중심의 119 서비스 강화를 위해 근무체계를 개편했다”며 “능동적인 인력 재배치를 통해 안전을 확보하고 생명을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문희철(reporter@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