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문 포럼] 이게 다 우영우 덕분이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이전 작품들과 다른 점은 장애 주인공을 둘러싼 따뜻한 ‘커뮤니티’의 존재다. 우영우를 장애인이 아닌, 뛰어난 변호사로 인정하고 지지해주는 주변 인물이 드라마의 ‘힐링’ 게이지를 높여준다. 대부분의 드라마가 그렇듯, 우영우 또한 회차를 거듭할수록 성장해간다. 로펌이라는 조직에, 세상의 축소판인 법정에 융화해가며, 독립적인 인격체로 성장해간다.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성장이 있다. 주변 인물 또한 우영우와 교감하고, 그의 ‘특별한’ 세상을 알아가며 한 뼘씩 성숙해간다.

우영우가 늘 꺼내고 싶어하는 소재이지만, 다들 듣길 꺼리는 고래 이야기. 로펌 송무팀 직원 이준호(강태오)는 눈높이를 맞춰가며 우영우의 얘기에 귀 기울이는 유일한 사람이다. 둘의 교감이 커지면서, 준호는 장애를 보는 사회의 그릇된 시선에도 눈을 뜨게 된다.
우영우의 로스쿨 동기이자 동료 변호사 최수연(하윤경) 또한 ‘특별한’ 친구에게 자극받고 성장하긴 마찬가지다. “안쓰러워 도와주다 보면 정작 수석은 영우가 차지한다”며 투정하면서도, 회전문 앞에서 서성이는 친구를 돕고, 또 영우가 힘들어하는 생수병 뚜껑도 따준다. 경쟁자이면서도, 자신에게 항상 먼저 손을 내밀어준 수연에게 영우는 ‘봄날의 햇살’ 같은 사람이란 최고의 찬사를 선물한다.
돌이켜보면, 이 드라마를 쓴 문지원 작가는 영화 ‘증인’에서도 자폐인이 주변 사람을 성장시키고,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스토리를 엮어냈다. 돈 때문에 꿈을 접고 대형 로펌에 들어간 민변 출신 변호사 순호(정우성)는 살인사건을 목격한 자폐 여학생 지우(김향기)를 이용해 승소하려 한다. 하지만 담이 꽤 높지만 티끌 하나 없이 순수한 지우의 세계를 접하고, 교감하면서 자신을 되돌아본다. ‘난 내 꿈으로부터 얼마나 멀어져 가고 있나.’ “당신은 좋은 사람입니까?”라는 지우의 질문은 순호가 ‘정의’라는 신념을 선택하게 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고, 순호는 지우를 통해 ‘더 좋은 사람’이 된다. “자폐가 있지만 변호사가 되고 싶은” 지우의 꿈을, 작가는 우영우라는 또 다른 주인공을 통해 실현해줬는지도 모르겠다.
순호는 법정에서 “사람은 모두 다르다”고 외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라는 말뜻만큼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지우나 영우 같은 자폐 장애인은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 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한다. 너무나 확고한 자신만의 세상에 살고 있기에 다른 이들과의 소통이 낯설고 불편할 뿐이다. 그런 ‘다름’을 이해하려 하지 않으면 존중과 배려라는 소중한 가치는 발붙일 곳이 없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교감하며 서로 커가는 드라마 또한 영원히 판타지에 머물 수밖에 없다.
문지원 작가는 두 편의 작품으로 자폐라는 장애를 덜 낯설게 만들어줬다. 자폐인을 따뜻하게 감싸 안고 함께 성장해가는 인물들을 통해 타자를 대하는 자세, 함께 살아가는 법 또한 일깨워줬다. 폭력에 가까운 온갖 차별적 언행과 소통 단절로 몸살을 앓고 있는 우리 사회에 작가가 안겨주는 위안이자, 지향점이 아닐까.
출근길 동네 버스 정류장과 환승 지하철역에서 자주 마주치는 두 명의 자폐 청년이 있다. 뭔가 중얼대다가 갑자기 큰 소리를 내는 모습에 놀랄 때도 있지만, 이제 그들이 불편하진 않다. 그들의 독백이나 외침이 “내가 좋아하는 이야기, 한번 들어 보실래요?”라며 수줍게 말을 걸어오는 것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들의 머릿속도 영우처럼 고래 생각으로 가득 차 있을까. 그들을 보는 시선이 좀 더 넉넉해진 것 같다. 이게 다 우영우 덕분이다.
정현목(gojhm@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