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원숭이두창 확진자, 증상은 피부발진…접촉자 8명은 능동감시
국내에서 원숭이두창 첫 확진자가 나왔다. 지난 21일 독일에서 입국한 30대 남성 A씨로 22일 오후 유전자증폭(PCR) 검사에서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다. 현재 인천의료원에서 격리 치료받고 있으며 건강 상태는 양호하다고 당국은 밝혔다. 감염 위험이 큰 고위험 접촉자는 없는 상태로 A씨와 인접한 자리의 승객 8명은 일상생활하되 21일간 보건소가 하루 1~2회 증상을 모니터하는 능동감시에 들어간다. “독일서 의심환자 접촉” 첫 환자 상태는 양호
질병청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1일 오후 4시 독일에서 입국했다. 입국 전인 18일부터 두통 증상이 시작됐고 입국 당시 37도의 미열과 인후통, 무력증, 피로 등 전신 증상에 더해 피부 병변이 나타났다고 한다.
A씨는 입국 직후 질병청에 의심 신고를 했고 공항 검역소와 중앙역학조사관에 의해 의사환자로 분류돼 공항 격리 시설에서 대기한 뒤 21일 밤 10시께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인 인천의료원으로 이송됐다. A씨는 독일에서 의심 환자를 접촉한 이력이 있다고 당국 기초 역학조사 단계에서 진술했다. 자세한 감염 경로에 대해선 심층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다.
지역 전파 가능성 낮지만 인접 8명은 능동감시
승객 중 앞뒤, 대각선 등으로 인접한 8명은 직접 접촉 가능성이 있어 약간의 위험이 존재하는 중위험 접촉자로 판단해 보건소가 21일간 능동감시(하루 1~2회 증상 모니터링)한다. 이외 좌석의 승객 41명(승객 39명+승무원 2명)은 저위험 접촉자로 수동감시할 예정이다. 수동감시는 21일간 본인이 증상을 관찰해 이상이 있으면 신고하는 것이다. 다만 접촉에 의한 감염 가능성은 낮을 거로 당국은 보고 있다.
이상원 단장은 “비행기 좌석에 따라 가까운 쪽에 계신 분들을 중위험으로 말씀드렸는데, 중위험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지 반드시 위험에 노출됐다는 뜻은 아니다”라며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고, 특별히 위험 요인이 없다면 관리 수준은 재조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일 입국한 외국인 B씨도 인후통과 림프절 병증 등 전신 증상과 함께 수포성 피부 병변이 발생해 부산 소재 격리 병상에 입원한 뒤 검사를 받았지만, 최종 음성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B씨의 병명은 수두로 확인돼 격리가 풀릴 예정이다. B씨는 의심 증상이 있었는데도 입국장을 통과한 뒤 하루 지나 스스로 병원을 찾아 검사받은 사례라 방역 상 허점이 드러났다는 지적도 나온다. 잠복기가 워낙 긴 데다 자진 신고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이 같은 사례가 이어질 우려가 있다.
치료제 내달에야 500명분 도입, 2세대 백신 접종 가능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노출된 지 4~14일 이내에 3세대 백신(진네오스)을 접종하면 예방 효과가 있는 만큼 영국 등에선 의료종사자를 포함해 밀접 접촉자에 접종을 권고한다. 당국도 3세대 백신 도입을 제조사 등과 협의하고 있지만 언제, 얼만큼 들여올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다만 당국은 노출자 중 접촉 강도가 중위험 이상인 희망자들에 비축 중인 2세대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고 밝혔다. A씨의 중위험 접촉자들도 원한다면 원칙적으로는 의학적 판단을 거쳐 접종할 수 있다는 게 당국 설명이다.

질병청은 앞서 지난 8일 원숭이두창을 2급 감염병으로 지정했다. 확진자가 확인되면 의료기관 등은 24시간 이내 방역당국에 신고를 해야 하고, 확진자는 의무적으로 21일 격리 치료를 받아야 한다. 최근 접촉한 동거인 등 고위험군도 같은 기간 동안 격리해야 한다. 당국은 이날 위기평가회의를 열어 위기상황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했다. 주의 단계에서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다. 당국의 대응 조직이 현재 대책반에서 중앙방역대책본부로 격상돼 다부처 협력 체계를 강화하게 된다.
원숭이두창은 아프리카에서만 발견되던 풍토병인데, 지난달 7일 영국서 첫 감염 사례가 나왔다. 이후 유럽과 북미, 중동 등 38개 국가로 확산했다. 통계 웹사이트인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원숭이두창 확진자는 20일 기준 2680명 발생했다. 원숭이두창은 주로 상처 부위나 체액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잠복기는 최대 21일이며 발열, 오한, 두통, 림프절 부종, 수포성 발진 등이 나타난다. 2~4주간 앓다가 대부분 자연 회복된다. 치명률은 3~6%로 알려져 있으나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현재까지 아프리카 외 대륙에서 사망자가 나온 적은 없다.
황수연.오욱진(ppangshu@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