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 5년 뛰어 ‘산양여지도’ 만든 남자

대구대 생물교육과 조영석 교수는 2018년부터 작업을 시작해 최근 완성한 전국 산양 분포 지도를 16일 중앙일보에 최초로 공개했다. 국내에서 전국 규모로 체계적인 산양 서식 분포 지도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출신인 조 교수는 2020년 3월 대구대로 옮긴 후에도 작업을 계속해 이번에 5년 만에 지도를 완성했다.

지도에는 서식이 확인된 지점을 붉은색으로, 무인카메라를 4개월 이상 운영했음에도 서식이 확인되지 않은 지점은 노란색으로 표시했다. 산양이 관찰된 서울과 포천, 동두천 지역은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파란색으로 표시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설악산이나 오대산, 비무장지대 인근, 삼척과 울진, 월악산 인근 등 지금까지 알려진 서식지 외에도 경기도 가평, 경북 상주와 포항 등 새로운 서식지가 확인된 것은 큰 성과다.
![산양분포지도. 붉은색은 산양 서식이 확인됐고, 노란색은 관찰되지 않은 곳이며 파란색은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 [사진 대구대 조영석 교수]](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2/06/17/22d92771-807d-4edf-bc83-86447bbbef16.jpg)
조 교수는 “산양의 서식을 위협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현재로써는 ASF를 차단하기 위해 무분별하게 설치한 울타리가 가장 눈에 띄는 위협이라고 생각된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이번에 공개한 산양 분포 지도에 서식지 모형 분석을 추가 진행하고, 산양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리해 국제 학술지에 투고 예정이다.
강찬수(kang.chansu@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