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사조직” 비판받은 혁신위, 막상 뚜껑 열어보니

국민의힘 혁신위원회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여성 초선 의원과 청년 등 상징성 있는 인사들이 포함됐지만 당내에선 여전히 “사조직” 논란이 사그라들고 있지 않다.
“이준석계 없다”지만
혁신위는 출범도 하기 전에 논란에 휩싸였다. 6·1 지방선거 직후 이준석 대표가 전격적으로 “최재형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혁신위를 만들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당내에선 2024년 총선 공천 문제와 결부시켜 “이 대표의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특히, 배현진 최고위원은 지난 1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혁신위는 이 대표의 사조직에 가깝다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하지만 막상 이날까지 명단에 포함된 7명 중에는 이준석 대표보다 최재형 혁신위원장과 가까운 인물이 다수 포함됐다. 김미애 의원은 지난해 7월 최 위원장이 국민의힘 대선 경선 주자로서 첫 공개 일정에 나설 때 부산에서 함께 봉사활동을 했다. 김종혁 전 국장과 천하람 변호사는 최재형 대선 캠프에서 각각 언론·미디어총괄본부장과 대변인으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천 변호사가 15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혁신위원) 면모를 보면 이준석 대표계라고 할 만한 분들이 없다”고 말한 게 일견 수용될 수 있는 셈이다.

이 대표는 계속해 “이준석계의 장악은 애초에 불가능하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당내에선 “이준석 대표의 사조직”이라는 시선을 쉽사리 거두지 않고 있다. 추천된 인사들과 이 대표가 직접적으로 가깝진 않더라도 이 대표와 가까운 정미경 최고위원과 김용태 청년 최고위원, 최재형 위원장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는 시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천 변호사도 당내에서는 큰 틀의 이준석계로 분류하는 시각이 많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최재형 의원 같은 분한테 이준석계라는 이름 붙이는 거는 그분의 커리어로 봤을 때 굉장히 모욕적인 이야기”라며 “정치적 공격을 할 때도 절대 사람의 명예를 건드리는 이야기를 하면 안 된다”고 최 위원장을 엄호했다.
대리전 양상 농후

김 전 위원장은 이 대표와 가까운 정미경 최고위원과 분당을 지역에서 대립각을 세웠던 인물로 통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정미경 최고위원이 분당을 당협위원장으로 6·1 지방선거 유세장에 나타났을 때, 김 전 위원장을 지지하는 일부 당원들이 ‘정미경 물러나라’는 피켓을 들고 항의할 정도로 갈등이 컸다”고 전했다. 배 최고위원이 의도했든 아니든 김 전 위원장의 혁신위 합류가 정 최고위원 입장에선 껄끄러울 수 있다는 얘기다.
때문에 혁신위 구성이 완료되더라도 이른바 ‘친윤(친윤석열)’ 성향 위원들과 이준석·최재형계 위원들 사이 당내 권력 갈등 대리전이 펼쳐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공개된) 최고위 개별 추천 명단은 단촐함이 있겠지만, 최 위원장의 추천 명단도 있기에 최종 명단을 보고 판단하겠다”며 “최 위원장이 (별도의) 외부인사 등 다양한 구상을 갖고 있는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李-安 최고위 파열음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안철수 의원이 양보해서 김윤 전 국민의당 서울시당위원장만 (최고위원으로) 받으면 (최고위는) 9명으로 충분히 돌아갈 수 있다”며 중재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 대표는 이에 대해 “사실 모르겠다. 추천한 명단이 좀…”이라며 “명단만 틱 주면 우리가 통과시켜야 하는 조직은 아니다”라고 수용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당내에선 이러한 논란을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장제원 의원과 이 대표 간의 신경전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국민의힘 의원은 “안 의원과 별다른 인연이 없는 정 의원을 안 의원이 추천한 데는 장제원 의원의 입김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가 정 의원 추천의 배경을 의심하는 만큼 이 문제도 쉽사리 해결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논란 당사자인 정점식 의원은 이날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안 의원이 6·1 지방선거 공천관리위원회를 매개로 나에 대해 주변에 많이 알아봤다고 들었다. 대통령과의 관계도 고려한 것 같지만 별다른 설명은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안 의원 측근 인사는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의) 당 대 당 통합 조건으로 내건 국민의당 몫 최고위원 2명은 협상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심새롬(saerom@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