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의 유산’ 4대강 조사평가단 해산…'재자연화' 폐기 가시화

정부 바뀌며 2차 연장 실패
조사평가단은 실장급(1급)이 지휘하는 대규모 조직이었지만 TF는 과장급(4급) 조직으로 대폭 축소된다. 파견을 나왔던 환경부 산하기관 직원들은 원대 복귀하고, 4대강 보를 관리하는 현장대응팀도 각 유역환경청 소속으로 전환 배치된다. 조사단에 의견을 전달했던 전문위원회, 지역주민 협의체도 해산할 전망이다.

4대강 조사평가단이 해체하는 건 46개월 만이다. 지난 2018년 8월 문재인 정부는 대통령 훈령으로 보 개방에 따른 효과·영향에 대한 조사·평가와 보의 처리계획 수립을 수행하기 위해 조사평가단을 설립했다. 훈령 상 활동 기한은 2020년 6월 30일까지였지만 환경부의 결정으로 한 차례 연장됐다. 조사단은 그동안 16개 보 중 2개를 전면 개방하고 7개를 부분 개방하는 등의 성과를 냈다.
한화진 장관 "단기적 평가 아쉽다"
이명박 정부 청와대 환경비서관 출신인 한화진 환경부 장관도 지난달 인사청문회에서 "4대강 사업은 다목적 사업인데, '보'의 기능에만 집중해 단기적 평가를 한 부분은 아쉽게 생각한다"며 정책 재검토를 시사했다. 당시 한 장관은 "4대강 사업은 일단 일단락됐고 모니터링된 통계자료나 전문가 자료도 축적이 많이 돼 있다"며 "사업 자체를 안 한다기보다는 여러 부분을 복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15일 한 장관은 가뭄 대응을 위해 금강 공주보 수문을 닫아 보 수위를 높이기로 한 것을 두고 '새 정부가 전 정부 4대강 재자연화 정책 뒤집기에 나섰다'라고 보는 시각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는 취지로 해명했다. 한 장관은 "(공주보 수위 상승은) 가뭄으로 농민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는 차원"이라면서 "4대강 관련해선 기존에 축적된 자료를 가지고 감사원 공익 감사가 끝나고 전문가 및 지역주민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편광현(pyun.gwanghyu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