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前 민변 회장, 충북동지회 변호인단 합류…재판 미뤄졌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출신 변호사들이 최근 간첩단 혐의로 재판을 받는 지하조직 ‘자주통일 충북동지회’ 조직원들의 변호인단에 대거 합류한 것으로 확인됐다. 새로 선임계를 제출한 변호인들은 기록 검토 등을 이유로 재판부에 기일 변경을 신청해 충북동지회 사건 공판은 지난 4월 이후 개점휴업 상태다.
최병모·한택근 변호사 등 충북동지회 변호인단 합류
원로 재야 법조인인 최병모(73·사법연수원 6기) 변호사는 1986년 민변의 전신인 정법회와 환경운동연합 창립멤버로 2002년 5대 회장으로 추대됐다. 당시 민변 부회장이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 사무총장이 김선수 대법관이었다. 민변 회장 시절 대한변호사협회로부터 대법관 후보자로 추천되기도 했다. 그는 한국에 특별검사제도가 도입된 뒤 첫 특검이었던 99년 ‘옷로비 사건’ 특별검사로 임명돼 기존 검찰 수사결과를 뒤집어 주목받았다.

한택근(61·22기) 변호사도 2014년 11대 민변 회장을 지낸 대표적인 진보 성향 법조인이다. 2020년 윤석열 대통령이 당시 검찰총장이던 시절 추미애 법무부의 징계 처분 집행정지 사건에서 법무부 측 변호인이었다. 북한 체제를 찬양·고무·선전하거나 이적표현물을 제작·소지·판매·유포하는 행위를 금지한 국가보안법 7조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법률심판 대리인단에 최 변호사와 함께 참여하고 있다. 이들이 속한 법무법인 양재엔 조국 법무부에서 인권국장·검찰개혁추진지원단장을 지낸 황희석 변호사도 몸담고 있다.
충북동지회 측 변호인으로 추가 선임된 김필성·김진형 변호사도 법무법인 양재 출신이다. 김필성(47·38기) 변호사는 민변 소속은 아니지만, 1959년 국가보안법 위반 등의 혐의로 사형 선고받은 죽산(竹山) 조봉암 선생의 ‘진보당 사건’ 재심 사건을 맡아 2011년 무죄 판결을 끌어내는 등 주로 진보 진영에서 활동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이 주장하는 ‘검찰개혁’ ‘언론개혁’ 등에 관해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왔다. 민변 출신의 김진형(46·40기) 변호사는 역시 민변 출신의 김용민 민주당 의원과 함께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 변호인으로 활동한 이력이 있다.

충북동지회 사건 공판은 80일 넘게 공전
재판부는 충북동지회 측의 도주를 우려해 전자장치 부착을 명령했지만, 검찰은 “증거인멸 우려가 크다”는 이유로 보석 결정에 항고한 상태다. 재판부는 새로 선임된 민변 출신 변호인들이 기록 검토를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요구한 기일변경 신청을 받아들여 다음 공판은 다음달 19일로 미뤄졌다. 마지막 공판기일이 열린 지난 4월 26일 이후 84일 동안 사건 심리가 공전하는 셈이다. 서초동의 한 법조인은 “국가 안보와 관련한 중요 사건의 경우 집중심리 등을 통해 구속 기간(1심 최대 6개월) 내 재판을 마친다는 걸 고려하면 이번 사건의 경우는 상당히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하준호(ha.junho1@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