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말] 작두를 타다
작두를 탄다는 말은 무당이 공수(무당이 신(神)이 내려 신의 소리를 내는 일) 등을 할 때 작두 위를 뛰면서 이야기를 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작두가 볏짚 따위를 자를 때 쓰는 도구이니 작두를 탄다는 것은 칼날 위에 서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두려운 행위죠. 무당의 신통력을 보여주는 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작두를 아무 때나 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신이 내려야 탈 수 있는 거죠. 자칫하면 큰일 납니다. 발바닥을 벨 수 있는 겁니다.작두는 작도(斫刀)에서 온 말로 봅니다. 베는 칼이라는 뜻입니다. 한편 우리는 작두를 탄다는 말을 종종 비유적인 관용표현으로 쓰기도 합니다. 어떤 일에 몰두하거나 황홀경에 빠져서 일을 할 때 생각보다 더 힘이 나고, 에너지가 솟아서 힘든 줄도 모르고 일을 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마치 발을 베이지 않는 것처럼 온몸에 나도 모르는 에너지가 가득 솟는 기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유적인 표현이지만 살면서 작두를 타는 것처럼 일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이런 경우를 단순히 표현하면 신이 나는 겁니다. 신나서 일을 하면, 덜 힘듭니다. 신나다를 어원적으로 살펴보자면 신이 내 몸속에서 나오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신은 다른 말로 에너지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신이 나오려면 선행되어야 하는 일이 신이 들어오는 것이겠죠. 우리는 이럴 때 신들린 듯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신이 들리면 신이 나오고 힘이 솟는 것입니다. 우리말을 보면 신은 참 가까이에 있습니다. 우리 속에서 나를 움직이게 하는 힘이 신인 겁니다.
요즘에 유행하는 말로는 영끌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영혼까지 끌어 모은다는 말인데 어쩌면 신나다나 신들리다는 말을 달리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전혀 용법은 다르지만 말입니다. 영끌하여 집을 사거나 주식투자를 하거나 가상화폐를 사는 것은 영혼과는 관계가 없어 보이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혼을 아무 때나 끌어오면 안 되겠죠. 자칫하면 넋이 나가버립니다.
누구의 연기를 칭찬할 때 작두를 타는 것 같다는 말을 하기도 합니다. 어떻게 저렇게 연기를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칭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당은 작두를 타면서 춤도 추고, 노래도 부르고, 신의 말씀을 전하기도 합니다. 맨발로 칼날 위에 올라가 있는 모습을 보면서 관중들도 넋을 잃습니다. 함께 환각에 빠지는 느낌입니다. 집단 무의식 상태라고나 할까요? 아마도 우리가 실제로 작두를 탈 일은 없겠죠. 무당이 되어야 낳는다고 하는 무병(巫炳)을 앓는다든지 하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어떤 무당은 작두를 계단처럼 만들어 놓고 올라가며 타기도 합니다. 대단합니다.
종종은 저도 제가 하는 일에서 작두를 탔다는 이야기를 하고, 칭찬을 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아프다가도 힘이 쪽 빠져있다가도 좋아하는 일을 시작하면 펄펄 나는 듯한 기분 말입니다. 여러분은 언제 그런 느낌을 갖습니까? 저는 강의가 재미있고 신이 날 때 그렇습니다. 특히 학생이나 청중의 반응이 좋을 때 힘이 솟습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남도 좋아해 주면 그때만큼 기쁜 때가 없는 겁니다.
아픈 것도 상관없습니다. 슬픈 일이 있거나 걱정이 있는 경우에도 상관없습니다. 그야말로 펄펄 날아가는 기분입니다. 그때는 강의를 듣는 사람도 같은 기분을 느낍니다. 혼연일체(渾然一體)가 되는 시간입니다. 그런 강의를 자주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정말 좋을 때는 제가 앓고 있던 병이 낫기도 합니다. 저뿐만 아니라 듣는 사람도 병이 낫습니다. 정말 그렇습니다. 치유의 순간입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