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문화 산책] 지혜로운 독서법을 찾아서

 나는 지금까지 책을 몇 권이나 읽었을까?
 
그동안 적어 놓은 독서목록을 살펴보니 일주일에 한 권, 그러니까 평균 1년에 50권 정도 읽은 셈이니 그동안 읽은 책이 3500권 가량 된다는 계산이다. 보통 생활인으로 치면 제법 많은 양일지도 모르겠지만 글쟁이의 처지에서는 부끄러운 독서량인 것 같다. 평생 다섯 수레의 책을 읽으라는 옛 말씀에 따르더라도 턱없이 부끄럽다.
 
물론, 읽은 책의 권수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어떤 책을 읽었는가 일 텐데, 그런 점에서는 크게 부끄럽지 않지만 이 역시 폭이 너무 좁았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나이 들수록 책읽기도 둔해지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눈도 어두워지고, 읽는 속도나 집중력 독해력도 떨어지니, 새로운 독서방법을 찾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읽을 책의 선정이나 읽는 방법 등도 나이에 맞게 바꿔야할 것 같다.
 


하지만 책을 듣는 ‘오디오북’은 사양하겠다. 책은 읽는 것이지 듣는 것이 아니라고 믿기 때문이다. 읽는 쾌감을 포기하고 싶지 않다. 눈이 보일 때까지는 돋보기를 들이대면서 느릿느릿이라도 읽을 생각이다.
 
이렇게 헤매는 중에 한 원로 석학의 독서법을 읽고 솔깃했다. 간단히 요약하면,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의무적으로 다 읽으려하지 말고, 재미있는 부분만 골라서 읽고 재미없는 부분은 건너뛰며 읽으라는 것이다. 이렇게 설명한다.
 
“목장에서 소가 풀을 뜯는 걸 봐도 여기저기 드문드문 뜯어. 풀 난 순서대로 가지런히 뜯어먹지 않는다고.”
 
그러면서 나비나 벌이 꽃에서 꿀을 딸 때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한다. 골자는 책을 의무적으로 읽을 필요는 없다는 이야기다. “재미없으면 던져버리고, 반대로 재미있는 책은 닳도록 읽고 또 읽는다”고 한다.
 
그것 참 지혜로운 독서법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그렇게 메뚜기처럼 이리저리 뛰면서 읽어보니 뭔가 찜찜하다. 우선은 책을 쓴 저자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고, 내가 쓴 책을 독자들이 이런 식으로 메뚜기 독법으로 읽는다든지 재미없다고 던져버린다면… 하는 생각도 들어서 서글퍼졌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척 보고 재미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해서 가려낼 능력이 없는 것이 문제다. 그건 천재이거나, 책을 무척 많이 읽은 독서가에게나 가능한 일일 것이다.
 
따지고 보면 이런 독서법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정보나 지식을 얻는 것이나 같은 방법이다. 당장 필요한 것만 얻으면 된다는 생각인데 과연 이런 독서법이 바람직한지 의문이 든다.
 
더구나 줄거리나 주제가 탄탄하게 이어져 있는 문학작품을 이런 식으로 읽으면 안 될 것이다. 이런 식의 독서로는 제대로 이해하기도 어렵고, 자칫하면 문학에 대한 모독이 될 수도 있다.
 
“오늘의 나를 있게 한 것은 우리 마을 도서관이었다. 하버드 졸업장보다 소중한 것이 독서하는 습관이다”라는 빌 게이츠의 말을 떠올린다. 아무리 생각해도, 독서는 힘들여 고생스럽게 해야 하는 인생공부라는 생각을 떨쳐버릴 수 없다.
 
이제부터는 새로 나온 책들을 허겁지겁 찾아다니며 넓게 읽기보다는, 우물을 파듯 차근차근 물이 나올 때까지 깊게 파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올해는 동서양의 고전 문학작품을 다시 읽기로 독서 계획을 세웠다. 읽을 책의 목록을 작성하면서 즐거운 시간에 젖는다. 오래된 책의 냄새, 작품의 향기를 떠올리니 벌써부터 설렌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