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듯’
‘듯’의 띄어 쓰기를 알려면 먼저 ‘듯’이 의존명사로 쓰였는지, 어미로 쓰였는지 구분해야 한다. 의존명사로 사용되면 띄어 써야 한다.의존명사 ‘듯’은 ‘듯이’의 준말로, 짐작이나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 쓰인다. “그는 이미 모든 걸 알고 있는 듯 말했다” “뛸 듯(이) 기뻐했다”에서처럼 어미 ‘-은(ㄴ)’ ‘-는’ ‘-을(ㄹ)’ 뒤에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듯’은 대체로 ‘것처럼’으로 바꿔 사용해도 비슷한 뜻이 된다.
“잠을 잔 듯 만 듯 정신이 없다”에서와 같이 ‘-은 듯 만 듯’의 ‘듯’은 의존명사로 띄어 써야 한다.
어미 ‘듯’은 ‘듯이’의 준말로, ‘-이다’의 어간이나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뒤 절의 내용이 앞 절의 내용과 거의 같음을 나타낸다. 이때는 “땀이 비 오듯 쏟아졌다”처럼 ‘듯’을 어간에 붙여 쓴다.
한편 “노래 실력을 보니 그는 가수인 듯하다”에서 ‘듯하다’는 앞말이 뜻하는 사건이나 상태를 짐작하거나 추측함을 나타내는 독립된 단어이므로 띄어 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