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에] 사진으로만 남은 사람들
시어머니의 병세가 위중하다며 한국으로 나간 친구가 소식을 보냈다. 장례식을 치렀다는 거다. 슬퍼하고 위로하고. 여덟 명의 친구들이 카톡방에서 와글거렸는데 오늘은 난데없는 흑백 사진이 줄줄이 올라왔다. 세일러복에 단발머리 여중생 둘이 나란히 앉은 모습, 옆 가르마 탄 머리를 살짝 뒤로 묶은 여고생이 서로 팔짱을 낀 모습. 시어머니의 소녀시절이라고 한다. 사진에 단기 4282라고 적혔으니 서기로는1949년이 되는 셈이다. 그 시절에도 교련이 있었는지 교련복을 입고 정렬한 사진도 있다.앳된 소녀가 아흔 살이 되기까지 살아온 골목 구석구석을 담은 사진이 얼마나 많을까. 노인의 죽음은 도서관 하나가 없어지는 것과 같다고 하던데 그 큰 도서관의 기록을 모두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가 자식에게는 부담이겠구나 싶다.
몇 년 전이었다. 집을 옮겨 볼까 하고 동네를 뒤지고 다녔다. 어느 날 등 뒤로 언덕을 끼고 앉은 고풍스러운 이층집을 살피다가 마당 구석의 창고까지 열어보게 되었다. 그곳에는 가지런히 정리된 풀장 장난감과는 어울리지 않는 대형 흑백 사진이 하얀 눈을 맞은 듯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었다. 멋진 신사와 금발의 여대생이 여러 사람의 박수를 받으며 악수를 하는 장면이 담긴, 대저택의 거실 벽을 다 차지했음직한 크기의 패널이었다.
“이 집 주인의 어머니가 대학생 때 찍은 사진인데요, 학교를 방문한 트루먼 대통령을 영접하는 장면이래요.” 감탄을 하는 나에게 부동산 에이전트가 말해 주었다. 부모의 사별 후 집을 물려받은 아들이 가구는 모두 처분했지만 차마 이 사진은 어쩌지 못해 보관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여자대학교의 대표로서 대통령을 맞이하는 영광은 남의 추억일지라도 매우 자랑스럽다. 그것은 집안의 가보가 되어 거실 중앙을 차지하고 모든 사람의 찬탄과 부러움을 받았을 터인데.
집으로 돌아와서 대통령과 여대생을 다시 떠올렸다.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 어머니 살아계실 때처럼 그대로 거실에 걸어두고 손자에 손자, 그 손자에 손자까지 할머니, 증조할머니, 고조할머니라며 우러러보게 했을까? 혼자 킥 웃었다.
그건 아니다. 우리는 모두 개별자가 아닌가. 내 안의 날카로운 비명이나 예민한 살갗의 느낌을 누가 나랑 똑같이 공감할 수 있을까. 내 손가락으로 그리는 V자를 타인에게도 강요할 수는 없다. 나의 고통의 궤적이나 기쁨의 흔적은 육체의 소멸과 함께 사라지는데 무슨 미련으로 여기저기 자국을 남길까. 떠나는 자는 앉은 자리를 스스로 치우고 갈 일이다. 결론을 내리고는 쓸쓸해했다.
이제 친구는 시어머니가 남겨 둔 유품을 처리하느라 바쁠 거다. 옷과 가구는 기부하거나 필요한 사람에게 나누어 줄 거고 현금과 통장은 당연히 해낙낙하며 챙기겠지. 그런데 어머니 모습은 감히 어떻게 정리할까.
생각해 보니 풀고 가야 할 숙제가 생겼다. 언젠가는 알 수 없지만 내게도 어둑발이 내리는 시간이 올 거다. 그때는 다른 건 미처 못 하더라도 사진 정리는 꼭 해 주어야겠다. 묵은 앨범을 뒤적여 아이들 사진은 골라 본인에게 나눠주고 우리 부부 사진은… 거기까지 생각하니 눈물이 난다.
성민희 / 수필가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