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Nathan Park 기자의 시사분석 - 쿡 카운티 법의학자 송혜정

Medical Examiner라고 부른다. 법의학자, 법의병리학자라고 번역되는데 주로 정부가 운영하는 검시소에서 사망한 주민들의 원인을 밝히는 의사들을 일컫는 말이다. 개인적으로는 인기 드라마 CSI에서 자주 봤던 전문직이다. 몇가지 버전이 있는 이 드라마는 법의학자의 역할을 자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보통 의문의 살인 사건이 발생하고 수사가 미궁에 빠지지만 현장이나 주위에서 발견된 조그마한 단서 하나로 사망의 원인을 추론하고 이를 부검을 통해 밝히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로 그려지곤 한다.  
 
차가운 부검실에서 미세한 부분까지도 놓치지 않는 모습이 이채로웠다. 실제 한국이나 미국에서도 강력사건의 범인 특정과 체포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의사로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안정적인 직장을 쉽게 찾을 수도 있고 큰 돈을 벌 수도 있는 경우다. 하지만 쿡 카운티 공무원으로, 살인사건 등 일반 사람들이라면 쉽게 접할 수 없는 일을 하는 공직에서 일하고 있다. 비교적 큰 규모의 쿡 카운티 검시소에만 14명의 법의학자가 있는데 그 중 유일한 한인을 인터뷰 할 수 있었다. 우연한 기회에 연결이 이어졌는데 꽤 특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에서 성장해 의대를 졸업하고 인턴, 레지던트를 모두 마친 송혜정씨는 미국으로 유학 와서 법의학자가 된 경우였다.
 
의대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직성과 맞는 직업을 찾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보다 체계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열망이 유학으로 이어졌고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에서 법의학 자격을 취득한 뒤 시카고로 왔다고 했다. 현재 미국에서 법의학자로 일하고 있는 500여명 중에서 한국에서 의대를 나온 뒤 현직에서 일하고 있는 경우로는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전체로 봐도 법의학자가 그다지 많지 않은 현실이기 때문에 송 씨는 타 주로 출장을 가거나 강의를 나가기도 한다. 학회 등지에서 동료들을 만나봐도 한인은 거의 없다고 한다.  
 
살인사건이 많은 시카고에서-올해도 벌써 800건이 넘는 살인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법의학자로 일한다는 것이 쉽지 만은 않을 것이라는 게 쉽게 추측할 수 있다. 아침 일찍부터 부검을 하고 보고서를 쓰는 것이 일상적인 일과라고 한다. 또 한달에 한두번 주말 근무도 피할 수 없다. 특히 아동폭행 사건을 다룰 때에는 객관적인 사실을 보고해야 하는데 감정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곤 한다는 고충을 밝히기도 했다. 반면 고인이 생을 마감할 수밖에 없었던 사망의 원인을 풀어주고 의문이 가득한 유가족들에게 제대로 된 설명을 했을 때 보람이 크다고 한다.  
 
이전에 취재를 하면서 쿡 카운티 검시소와 통화할 기회가 있었다. 한인이 피해자가 된 사건에서 사망의 원인을 직접 들어보기 위해서였다. 10년도 훨씬 지난 일이었는데 당시 담당 법의학자가 한인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누가 봐도 한인 이름이 분명한 경우라서 기억이 선명하다. 해당 법의학자의 이름은 나중에 법원에서 자료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 사건의 검시 리포트가 법원에서 자료로 공개됐는데 한글로 된 법의학자 이름이 적혀진 것이었다. 지금은 해당 법의학자는 은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알게 모르게 공직에서, 꼭 필요한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한인들이 우리 주위에는 종종 있다. 비록 널리 알려지거나 큰 권한을 행사하고 있지는 않지만 공공 분야에서 나름대로의 역할을 하면서 전체 사회가 유지되는데 기여하고 있는 한인들이다. 기존까지는 한인 부모들이 자녀들로 하여금 재정적으로다 사회적으로 안정된 직업을 가지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하던 때가 있었다. 물론 지금도 틀린 얘기만은 아니다.  
 
시카고 중앙일보가 4년째 연재 중인 ‘시카고 사람들’ 인터뷰를 위해 다양한 직군의 한인들을 접할 기회가 많았다. 모두들 각자 자리에서 헌신적으로 일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인에게는 닫힌 곳이었던 프로농구리그에서 코칭 스태프로 일하는 젊은이도 있었고 40년 이상 한 자리에서 맞춤옷을 제작하고 있는 이민 1세대도 만날 수 있었다. 해커트론이라는 대회에서 팀을 이뤄 1위를 차지한 유학생도 사람들을 통해 소개됐다. 팬데믹으로 인해 모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때, 이런 한인들이 있어 우리들의 삶이 조금이나마 나아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게 되고 그들의 헌신과 노고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본다.  
 
 

Nathan Park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