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수첩] PPP가 한인경제에 던진 화두
1일 중소기업청(SBA)은 급여보호프로그램(PPP)의 공식 종료를 선언했다. 팬데믹과 동시에 등장했던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PPP는 5월 31일로 마무리됐다.SBA는 지난해와 올해 두 차례에 걸쳐 850만개 이상의 스몰 비즈니스와 비영리단체에 7980억 달러가 지원됐다고 이날 밝혔다. 특히 올해는 영세업체, 소상공인, 맘앤팝 업소 등 지역 상권을 살리기 위해 2차 PPP 융자액의 96%가 종업원 20인 미만 사업체에 전달됐다고 SBA는 강조했다.
표현은 융자지만 총액의 60% 이상을 인건비로 쓰면 전액을 탕감받을 수 있는 PPP의 핵심 규정이 보낸 시그널은 분명했다. “일자리를 지켜라”는 것이었다. SBA는 이보다 기준을 낮춰 인건비 비중이 60%에 못 미쳐도 실제 사용한 인건비의 60%는 ‘부분 탕감’해 준다고 할 만큼 일자리 보전에 집중했다.
한인사회도 PPP 지원금을 소중하게 활용했다. 많은 의류업체는 온라인 판매 등으로 활로를 개척하며 고용을 유지했고, 여러 노포가 폐업했지만 한인 식당들은 기록상 지난해 수준과 비슷한 직원 채용을 올해까지 이어가며 버텨냈다.
25% 매출 감소 조건에 맞지 않아 2차 신청을 하지 못한 한인 마켓과 식품 유통업계는 팬데믹의 반사이익을 톡톡히 봤다는 분석을 낳았으며, 팬데믹의 직격탄을 맞은 한인 여행사와 호텔들도 1차와 2차 PPP를 받으며 연명했다.
물론 전대미문의 위기상황에서 급조된 정책이었던 까닭에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법무부는 지금까지 120명 이상의 사기성 PPP 수혜자를 기소했고 수백명을 대상으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문제를 일으킨 한인도 보고됐는데 지난해 동부에서는 임금을 허위로 기재하는 수법으로 수백만 달러의 PPP를 받은 이가 연방 검찰에 적발됐고, 올해 초에는 남부에서 10여개 업체와 짜고 마찬가지로 수백만 달러를 부정으로 받았다가 덜미를 잡힌 경우도 보도됐다.
한인사회는 물론, 주류사회에서도 정부의 눈먼 돈을 허술한 심사를 통과해 받아내 우량주식이나 코인에 투자해 팔자를 고쳤다는 이들에 대한 분노와 자조가 넘쳐났다.
다만 이 부분에서 눈여겨볼 부분은 일자리의 질이다. 한인업체들이 받은 PPP를 직원당 단순 평균 임금으로 계산한 결과 월급이 2000달러에 크게 못 미치는 경우도 많았다. 근로자의 가치가 그저 미미하기만 했다.
캘리포니아의 주거비와 세금 부담, 생활물가 오름세와 교육비 압박 등은 큰 데 비해 인건비는 제자리걸음 수준이다.
왜 LA를, 가주를 떠나 타주로 떠나는 한인들이 많은지 새겨볼 부분이다. 스페인 독감 이후 100년 만에 최악의 카운터 펀치를 날린 팬데믹. 망가진 경제를 다시 일으킬 수 있는 것은 제대로 보상받는 양질의 일자리라는 점을 한 번쯤 떠올려봐야 한다.
류정일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