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3700만 명 전기·수도 끊길 위기
공급 중단 유예 만료 임박
경기부양책에 지원 예산
주정부도 저소득층 지원

유틸리티 부담 경감 서비스를 제공 업체 ‘아케이디아’(Arcadia)의 최근 조사에 의하면, 서비스 이용자 1명당 밀린 유틸리티 사용료는 평균 850달러나 됐다. 이처럼 유틸리티 사용료 체납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이유는 경제 봉쇄령 때문에 95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소비자 상당수가 수입원을 잃거나 소득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자택 대피령으로 인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전기 및 수도 사용량이 급증한 것도 일조했다.
지난 11일 시행된 3차 경기부양법(ARP)에는 유틸리티 사용료 납부 지원금 50억 달러가 포함돼 있다. 여기에다 다른 정부 기관이 보유한 예산을 합하면 유틸리티 보조금 규모는 약 91억 달러가 된다. 문제는 지원금 규모가 연체된 270억 달러에 3분의 1의 조금 넘는 수준이라는 점이다.
전국에너지지원담당협회(NEADA)는 저소득층에 에너지 비용 보조 프로그램(Low Income Home Energy Assistance Program: LIHEAP)을 통해서 유틸리티 보조가 시급한 소비자에게 지원금을 배포할 예정이다.
캘리포니아의 경우엔, 커뮤니티서비스 및 개발부서(https://www.csd.ca.gov/)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저소득 가구를 위한 에너지 보조 프로그램(LIHEAP) 수혜 소득 기준은 1인 가구의 경우, 월 2431.09달러 미만이다. <표 참조> 4인 가구는 월수입이 4675.17달러 미만이면 신청할 수 있다.
지원금 규모가 턱없이 부족한 데다 최소 35개 주에서 시행 중인 사용료 연체에 따른 유틸리티 공급 중단 유예 조치가 종료되면 전기나 수도 공급이 끊기는 가구가 속출할 것이란 전망이다. 한인 밀집 거주 지역인 캘리포니아와 뉴저지 주의 유예 조치는 6월 말로 종료된다. 체납 유틸리티 급증으로 인해서 유틸리티 업체들의 적자 폭도 커지고 있다.
표>
진성철 기자 jin.sungcheol@koreadaily.com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