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보내달라 외침 외면 못 해…”
한국과 미네소타 사이의 ‘人’ (6·끝) - 한현숙 미네소타아동복지회
미네소타 한인 입양아 많은 이유
“고아 열차부터 시작된 입양 역사”
한씨는 “그때 한국에는 고아가 너무 많았다. 대구 한 고아원에 갔는데 200여 명의 아이들이 방 안에 가득하더라. 제대로 눕지도 못할 만큼의 공간이었다”며 “그때를 잊을 수 없다. 나를 보더니 다들 소리를 지르는거다. 가만히 들어보니 자기를 ‘양자로 보내달라’며 이름을 외치는 소리였다”고 말했다.
너무나 가여웠다. 입양 사역에 평생 몸담겠다고 결심한 게 그때다.
한씨는 아이들이 조금이라도 더 나은 환경, 좋은 부모를 만나길 원했다. 당시 열악했던 한국의 경제 사정으로는 그 많은 아이들을 수용하기가 어려웠다. 입양에 대한 인식도 부족했다. 한계가 있었다. 한씨가 해외 입양으로 눈을 돌렸던 이유다. 그는 미네소타 아동복지회와 연이 닿아 1975년 미네소타로 왔다.
한씨는 “미국 입양 역사에는 '고아 열차(orphan train·1854~1929)’가 있다. 당시 넘쳐나는 아이들을 감당할 수 없어 아이들을 열차에 태워 동부 각 도시의 역(驛)을 거치며 서부 쪽으로 입양을 보냈던 이야기”라며 “그때 아이들을 가장 많이 입양했던 게 미네소타 사람들이다. 이곳은 미국에서도 입양에 가장 열려있던 주”라고 말했다.
그는 은퇴(2003년) 전까지 오직 입양아를 위해 살았다. 아들을 직접 입양하기도 했다. 그렇게 미국으로 데리고 온 한인 입양아만 1만 명이 넘는다.
한씨는 “많을 때는 1년에 600명까지도 한국에서 데리고 왔다”며 “입양은 이후에도 양부모와 상담도 하고 아이들이 잘 크고 있는지도 살펴봐야 하기 때문에 쉴 틈이 없었다”고 말했다.
지금은 환경 자체가 달라졌다. 한국에서의 입양도 과거에 비해 많이 변했다.
그는 “한국에 가보니 출산율도 낮아져서 예전만큼 고아도 없다. 한국의 시설도 정말 좋아졌다”며 “미네소타로 입양 오는 아이들이 많이 줄은 이유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오늘날 미네소타 한인 사회는 타주와 달리 입양인의 영역이 존재한다. 한국과의 인연 사이에 사람이 있어서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