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북위~당 역사 이끈 탁발선비, 그들 발원지엔 야생화가…

중국 네이멍구 알선동

북방 탁발선비의 발원지인 네이멍구자치구 후룬베이얼시 어룬춘 아리허진의 외곽 산속에 있는 알선동. [사진 윤태옥]

북방 탁발선비의 발원지인 네이멍구자치구 후룬베이얼시 어룬춘 아리허진의 외곽 산속에 있는 알선동. [사진 윤태옥]

가을에 찾은 대흥안령. [사진 윤태옥]

가을에 찾은 대흥안령. [사진 윤태옥]

대흥안령 계곡에서 만난 야생화들. 왼쪽부터 개미취·솔체꽃·두메부추·분홍바늘꽃·애기똥풀. [사진 윤태옥]

대흥안령 계곡에서 만난 야생화들. 왼쪽부터 개미취·솔체꽃·두메부추·분홍바늘꽃·애기똥풀. [사진 윤태옥]

대흥안령 알선동 가는 길
솔체꽃·오이풀 등 흐드러져
드라마보다 더 극적인 남천

북주·수·당 세 왕조는 '한통속'
독고신 세 딸 각각 황후 올라
마오쩌둥 대장정도 변방서


솔체꽃과 개미취, 둥근이질풀은 보라색을 자랑한다. 배초향도 무리 지어 보라색을 노래하고, 분홍바늘꽃도 보라색 꽃잎을 방긋거린다. 층층잔대도 작은 종 모양의 보라색 꽃을 아래로 향하고 있는데 길게 삐져나온 꽃술이 신비의 바늘로 보인다. 그런가 하면 마타리와 애기똥풀은 강렬한 노란색으로 푸른 숲에서 홀로 튀어 오른다.

200여m밖에 되지 않는 길을 걸으면서 내 눈에 담긴 야생화들이다. 그야말로 야생화 천지다.

동북아시아 지형도를 보면 대흥안령 산맥이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만주의 서북쪽에 서남방향으로 1400㎞나 늘어져 있다. 북위 50도에 걸쳐진 대흥안령 북단의 어느 계곡은 이번 여름에도 야생화가 만발했다. 변방의 꽃들이다. 중원의 정원에서는 궁녀의 얼굴만 한 큼직한 모란꽃이 시인 묵객과 황제의 사랑을 받고 자라지만, 변방에서는 바람과 추위에 버티면서 작은 꽃과 가는 줄기로 질긴 생명력을 화려하게 이어간다. 자작나무와 가문비나무 사이의 꽃밭을 한참 걸어가면 커다란 동굴이 나온다. 높이가 20여m, 폭이 27m, 깊이는 90m다. 널찍한 광장이 바위산 큰 입속에 들어앉은 듯하다. 동굴에 들어서면 신령스러운 느낌이 밀려온다. 중국 네이멍구자치구 후룬베이얼시 어룬춘 자치기 아리허진의 외곽 산속에 있는 알선동이다.





북위 세워 북중국 통일

내가 알선동을 처음 찾은 것은 2010년 8월 하순, 자작나무 잎사귀가 이미 노랗게 물들어 가는 계절이었다. 베이징에서 탄 기차에서 26시간을 앉아서 버티고, 씰룩씰룩거리고 쿵쾅쿵쾅대는 시외버스를 2시간여 견디고, 다시 허접한 시골 무면허 택시를 타고 20분 정도 와서야 동굴 앞에 설 수 있었다. 나를 긴 여정을 감수하고도 이곳에 오게 한 것은 『제국으로 가는 긴 여정』이란, 박한제 서울대 명예교수가 쓴 역사기행서다.

범상치 않은 제목에 선비족 탁발부의 천년 역사가 응축돼 있다. 대흥안령 깊은 산속의 알선동 일대에서 살다가, 지금의 후룬베이얼 초원으로 일차 남천을 했다. 이곳에서 몸집을 키워서는 흉노고지까지 이차 남천을 하여 북위를 세워 북중국을 통일했고, 호한을 융합하는 거대한 변혁을 이끌었고, 종국에는 대당제국에 이르는 대서사시다.

탁발선비의 북위가 대당제국으로 연결되는 과정은 드라마 이상의 드라마였다. 북중국을 통일하고 호한융합까지 강력하게 밀어붙이면서 에너지를 소진한 북위는 서위와 동위로 분열됐다. 동위는 고환이, 서위는 우문태가 실권자가 되어 탁발씨 황제를 휘둘렀다. 고환과 우문태 모두 아들대에 가서 탁발씨 황제를 폐하고 각각 고씨의 북제와 우문씨의 북주라는 새 왕조를 열었다. 북제는 북주에 정벌당해 먼저 사라졌고, 북주는 다시 양견에게 먹혀 수나라가 됐다. 수나라는 남조의 진을 정벌해서 남북조를 통일했으나 얼마 가지 못하고 이연의 당나라로 뒤집어졌다.

북위(16국)-서위(동위)-북주(북제)-수의 통일(남조)-대당제국으로 이어지는 왕조 교체가 복잡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간단하다. 정치적으로 북주·수·당 세 왕조는 '한통속 세 집안'이었던 것이다. 서위의 실권자 우문태를 중심으로, 북위 무천진(지금의 후허하오터시 무천구) 출신들이 탁발선비라는 울타리 안에서 결집(관롱집단)했다가 자기들끼리 치고받으며 정권을 탈취한 것이다. 수문제 양견과 당고조 이연 모두 관롱집단 출신이다. 이들이 한통속이란 것은 그들 사이의 혼맥에서 확연하게 드러난다. 수나라는 북주의 사돈이고, 당나라는 북주의 사위다. 혼맥의 중심에는 독고신이란 인물이 있는데, 그의 세 딸은 각각 북주·수·당의 황후가 되었다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알선동에서 시작된 두 번의 남천 역시 드라마보다 드라마틱한 과정이었다. 알선동 일대의 삼림 지대에서 살아오던 탁발선비는 기원전 1세기께 1차 남천을 했다. 서쪽으로 대흥안령을 넘었고 어얼구나강(아르군강, 현재 중국·러시아의 국경 하천)을 만나 남하하여 후룬호 일대에 정착했다. 이곳에서 초원에 적응하며 힘을 키운 탁발선비는 3세기 초(2세기 중엽이라는 주장도 있다) 다시 서남으로 멀고 먼 2차 남천을 했다. 몇 번의 위기를 넘나들다가 탁발의로가 대국(310~376년)을 세웠다.



변방은 앞날의 황제 배태한 곳

북위 탁발선비의 후예인 대당제국은 국제적인 수도 장안에서 꽃을 피웠다. 꽃은 실크로드의 종착이자 시발점인 서시에서 가장 화려하게 만발했다. 지금 그곳에 세워진 대당서시 박물관에서 돌아보면, 중원의 실체는 쟁투의 무대라는 생각이 든다. 변방은 무대로 오르는 대기실이었다. 거칠게 깨진 원석들이 널려 있는 황무지였을 뿐. 그러나 변방은 다음 시대의 황제를 배태하고 미래의 제국이 고요하게 성장했던 곳이다. 그 가운데 하나가 알선동이었고, 그것은 제국으로 가는 긴 여정의 출발점이었다.


윤태옥 중국 여행객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