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전쟁 말할 때 한국은 몸서리친다"
"평화 아닌 해결책, 어떤 의미도 없어"
작가 한강 NYT 기고문 잔잔한 반향
한강은 최근 북미 갈등으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면서 한 노인에게 벌어진 헤프닝을 소개하면서 글을 시작했다. 전쟁에 대한 우려 때문에 은행에서 돈뭉치를 찾아오다가 절도 피해를 본 노인의 사건 이야기다.
한강은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난 이후부터 전쟁은 그 노인이 청소년기에 줄곧 겪어온 체험이었을 것"이라며 "평범한 중산층으로서 살아온 그가 돈을 찾기 위해 은행으로 가는 길에 어떤 느낌이 들었을지 상상이 된다"고 적었다.
한국전쟁을 겪은 노인에게 '전쟁의 공포'는 젊은이들과 달리 실제의 것이다. 하지만, 한강을 비롯, 전쟁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젊은이들에게 북한이란 복잡미묘한 존재다.
한강은 "나는 그 노인과 달리 한국전쟁을 겪지 않았다"며 "전후 세대들에게 북한이라고 알려진 나라는 때로 모종의 비현실적인 존재로 느껴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론 남한 사람들은 평양이 서울에서 자동차로 2시간 거리이며 전쟁이 끝나지 않았고 휴전 중이라는 것을 안다"며 한국인들에게 북한이란 일상에서는 비현실적인 존재이면서도 현실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복잡한 존재임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강은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고 있음에도 태연한 듯 일상을 살아가는 이런 한국인들을 향한 미디어들의 시선에 대해서도 물음을 던졌다. 그는 "이런 고요함이 한국인들이 정말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까. 모두가 전쟁의 공포를 진실로 초월해냈을 것 같으냐"고 질문했다. 그리고 '절대 그렇지 않다'는 말을 이어갔다.
한강은 "수십 년간 쌓인 긴장과 전율이 한국인들의 깊숙한 내면에 숨어 단조로운 대화 속에서도 갑자기 불쑥불쑥 모습을 드러낸다"며 "특히 매일 나오는 뉴스에 따라 최근 몇 달 동안 이런 긴장이 우리의 초조한 내면에서 서서히 고조되는 걸 목격했다"고 덧붙였다. 한강은 "한국은 하나만 안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말에 한국인들이 뚜렷하게 아는 게 한 가지가 있다고 맞받았다. 그는 "우리는 평화가 아닌 어떤 해결책도 의미가 없고, 승리는 공허하고 터무니없으며 불가능한 구호일 뿐이라는 걸 안다"며 "또 다른 대리전을 절대로 원하지 않는 사람들이 지금, 여기 한반도에 살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반도 긴장 상황에서 겉으로는 평온함을 유지하지만, '전쟁'이란 단어에 조용히 몸서리치는 한국인들의 심정을 대변한 한강의 글은 미국인들의 SNS에 공유되며 다양한 논의를 이끌어내고 있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