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내성 걱정 지나치면 독, 오남용 않고 먹으면 약

만성질환 약은 처방 따라
진통제는 용법·용량 준수
항생제는 복용 기간 지켜야

약 내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계속 먹어도 될까? 약에 대한 가장 흔한 우려다. 같은 약을 계속 복용했을 때 내성이 생겨 효과가 떨어지는 건 아닐지, 중독되거나 의존성이 생기진 않을지 걱정한다. 결론적으로 대부분의 약은 내성과 의존성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내성이 심한 것으로 알려진 항생제나 마약성 진통제, 향정신성의약품 역시 정해진 용법·용량만 잘 지키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약의 내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알아봤다.

고혈압 환자인 김기찬(69·가명)씨는 하루 한 알씩 복용하던 약을 최근 보름간 반으로 쪼개 먹었다. 약에 내성이 생길까 봐 걱정돼서다. 8년째 꾸준히 약을 복용했는데도 혈압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이유가 왠지 내성 때문인 것 같았다. 그러다 혈압이 180㎜Hg까지 올라 부랴부랴 병원을 찾았고, 의사로부터 "의사 상담 없이 약을 임의로 줄이거나 끊으면 매우 위험하다"는 주의를 들었다.

환자 맘대로 끊거나 줄이는 게 문제



고혈압을 비롯해 당뇨병·고지혈증 같은 만성질환을 관리하려면 치료제를 매일 복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김씨처럼 약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것을 우려하는 환자가 많다.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하고 앓는 기간이 오래될수록 점점 더 강한 약으로 바뀐다는 점도 내성을 우려하게 하는 이유다.

하지만 이런 우려는 착시 현상에 가깝다. 결론적으로 만성질환 치료제는 내성이 없다고 보면 된다. 고혈압을 예로 들면 혈압약의 치료 목표는 망가진 혈관을 건강하게 되돌리는 것이 아니다. 매일 혈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정도다. 점점 강한 약으로 바뀌는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혈관이 점점 약해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김씨처럼 멋대로 약을 끊으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실제 약을 얼마나 잘 먹는지는 병의 예후에 큰 영향을 끼친다. 고혈압을 비롯한 만성질환의 경우 이런 경향이 훨씬 강하다. 실제 지난해 원자력병원에서 발표한 연구에선 복약 순응도가 낮을수록 심장병·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된 약을 80% 이상 복용했을 때(좋음), 50~80% 복용했을 때(양호), 절반도 복용하지 않았을 때(나쁨)로 나눈 뒤 사망과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나쁨일 때 최대 1.64배 컸다. 뇌졸중 사망 위험도 최대 2.19배 컸다. 오범조 서울시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고혈압약은 내성이 거의 없다"며 "오히려 약을 끊었다가 먹으면 상태가 더 나빠진다. 본인이 원치 않던 더 강한 약으로 바꿔야 하는 상황이 오는 셈"이라고 강조했다.

진통제 월 15회 이상 복용 말아야

진통제 역시 내성에 대한 우려가 큰 편이다. 진통제는 종류가 다양하다. 종류에 따라 내성 및 의존성이 다르다. 마약성 진통제는 내성과 의존성에 주의해야 한다.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야만 먹을 수 있다. 암을 비롯한 중증 질환이거나 교통사고 등으로 외상이 심할 때가 아니면 처방받을 일이 거의 없다. 약국에서 쉽게 구하는 진통제는 모두 비마약성 진통제다. 해열진통제든, 소염진통제든, 카페인 성분이 포함된 복합진통제든 정해진 용법·용량만 잘 따르면 내성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단 남용할 경우엔 내성이 생길 수 있다.

대한두통학회는 어떤 진통제든 월 15회 이상 또는 주 3회 이상 복용하지 말라고 권유한다. 이 용량으로도 조절되지 않는 통증은 병원을 찾아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한다. 평소 먹던 진통제가 잘 듣지 않을 때도 마찬가지다. 내성이 생긴 게 아니라 통증의 강도가 전보다 심해졌을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내성 걱정에 통증을 무작정 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무작정 약을 피하면 더 심한 통증에 시달린다. 이땐 더 많은 양의 진통제가 들어가야 통증이 잡힌다. 결과적으로 본인이 가장 원치 않던 더 많은 약을 복용하게 되는 상황에 이른다. 김병건(대한두통학회장) 을지병원 신경과 교수는 "통증이 시작된 지 30~60분 안에 약을 복용해야 한다"며 "그 이후에는 몸에서 신경을 흥분시키는 물질을 분비해 통증이 더 심해진다"고 말했다.

일부 진통제는 의존성도 문제가 된다. 카페인 성분이 함유된 복합진통제는 장기 복용했을 때 의존성을 유발한다. 카페인은 중추신경을 자극해 머리를 맑게 하는 각성 효과가 있다. 진통 성분의 흡수를 도와 빠르게 효과가 나타나게 한다. 효과가 좋은 대신 하루 3회 이상 꾸준히 복용하면 효과가 점차 감소한다. 내성과 함께 의존성이 생겨 진통제를 끊으면 반작용으로 다시 두통이 올 수 있다. 의학계에선 '금단 두통'이라고 설명한다.

항생제 처방 받은 만큼 다 먹도록

내성이 말썽을 부리는 건 항생제다. 항생제 내성은 전 세계적인 문제다. 특히 한국은 내성 문제가 심각하다. 국내 항생제 처방률은 31.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3.7%) 대비 8.0%포인트 높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병원 감염의 82.2%, 지역 사회 감염의 61.5%가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암피실린에 내성이 생긴 상태다. 항생제 내성 문제가 심각해진 데에는 오용이 한몫했다. 처방받은 항생제를 제대로 복용하지 않아 내성을 키우는 것이다.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것은 복용 기간이다. 일주일치 항생제를 처방받았다면 병이 나은 것 같아도 반드시 끝까지 복용해야 한다. 복용량을 줄이거나 중단하면 세균이 완전히 사멸하지 않고 남는다. 항생제에 대응해 유전자 변이를 일으킨다. 같은 항생제에는 반응하지 않는 내성균이 되는 것이다.

스테로이드 연고 오래 사용증상 악화

스테로이드제도 내성에 주의해야 하는 약 중 하나다. 스테로이드는 악명과 달리 몸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다. 부신피질에서 매일 5㎎씩 생성된다. 몸에서 나오는 스테로이드만으로 부족할 때 외부에서 일시적으로 필요한 양을 주입한다. 그러나 항생제와 마찬가지로 적정 복용량과 기간을 지키지 않으면 내성이 생길 수 있다.

일 상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건 연고 형태의 스테로이드다. 주로 피부 질환에 사용한다. 정해진 기간 이상 사용하면 부신피질이 착각을 한다. 스스로 분비량을 줄인다. 그러면 점점 더 많은 양을 외부에서 주입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의존성도 생긴다. 스테로이드를 사용해야만 증상이 가라앉는다. 약을 끊으면 반동에 의해 증상이 심해진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