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념을 위한 희생, '박열'의 연인 '가네코 후미코'
어린 시절 3·1운동 목격 후 저항정신 매료
불평등한 일제 권력에 저항, 감옥서 요절
두 사람은 도쿄에서 만나 동거했고, 아나키스트로서 일본 제국주의와 천황제에 반역하는 모임 '불령사'를 조직했다.
박열이 천황가에 폭탄 투척 혐의로 체포됐을 때 가네코도 함께 붙잡혔다. 가네코는 재판 중에 일곱 차례 전향을 요구받지만, 끝까지 박열과 뜻을 같이하며 사형을 선고받았다.
어쩌다 일본인이 목숨을 걸면서까지 조선을 위해 자국의 체제를 부정했을까. 무엇이 그를 철저한 자기반성으로 나아가게 했을까. 영화가 설명하지 않은 뒷이야기가 궁금했다.
그 실마리는 일본의 역사학자 야마다 쇼지가 쓴 '가네코 후미코'(산처럼)에서 찾을 수 있었다. '식민지 조선을 사랑한 일본 제국의 아나키스트'란 부제가 달린 이 책은, 이준익 감독이 영화를 만들 때 참고한 책이기도 하다. 야마다 쇼지는 가네코가 옥중에서 남긴 방대한 분량의 자서전과 재판 기록, 당대의 신문, 잡지 등을 그러모아 가네코의 삶을 재구성했다.
가네코는 천황제를 신봉하는 권위주의적인 아버지와 하층 계급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어머니를 호적에 올리지 않았고, 가네코가 태어난 뒤 어머니를 버리고 어머니의 여동생과 결혼했다. 가네코는 자연스레 호적이 없는 무적자가 됐다. 차별과 학대의 비참한 세월을 보내던 그는 부모에게 버려져 9세 때 친할머니가 있는 조선으로 향한다.
7년간의 조선 체험은 지옥이나 다름없었다. 조선인을 수탈해 부를 쌓은 할머니는 대단한 권위주의자로 가네코를 멸시했다. 때리고 밥을 굶겼는데, 동네 조선인 아낙네가 불쌍히 여겨 밥을 주려던 적도 있었다. 가네코는 피지배계급인 조선인에게 더욱 심정적 동의가 일었다고 책은 전한다. 무엇보다 1919년 3.1운동을 두 눈으로 보고 나서 그 저항정신에 매료됐다.
일본에 돌아와서도 수난은 계속됐다. 돈 때문에 외삼촌에게 시집보내려는 아버지로부터 상처를 받았고, 누구보다 명석했지만 여성이기에 교육받지 못하는 현실에 분개했다. 가네코는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이런 차별과 억압에 반기를 들게 된다. 아버지로부터 벗어나 도쿄로 향한 것도 그런 이유였다.
도쿄에서 그는 고학 생활을 하며 사회주의와 무정부주의에 깊이 빠져들었다. 그것은 고통스러웠던 자신의 삶이 어디서 비롯됐는지 각성의 계기가 됐다. 부모가 자식을 일방적으로 다루고, 그것을 효행으로 정당화하려는 것은 계급 지배의 일환이라는 것. 즉 권위적인 가정은 천황제를 유지하는 기본 뼈대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다.
가네코는 자서전에 이렇게 썼다. "태어날 때부터 나는 불행했다. 시종일관 가혹한 취급을 받았다. 나는 자아라는 것을 가질 수 없었다. 하지만 지금 나는 지나온 모든 날들에 감사한다. 만약 내가 부족함이 없게 자랐다면, 내가 그렇게도 혐오하고 경멸해 마지않는 그 사람들의 사상과 성격과 생활을 그대로 수용했을 테고 결국에는 나 자신을 발견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가네코는 모든 사람은 자연적 존재로서 평등하며, 불평등은 국가 권력이 만든 법과 도덕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게 된다. 즉 지상의 평등한 인간생활을 유린하는 건, 권력이라는 악마의 대표자 천황이며 황태자다. 이 책은 가네코가 천황제 국가와 대결하기 위해 조선인(박열)과 공동 투쟁, 연대를 지향했다고 답을 내린다. 물론 박열에 대한 깊은 사랑도 부정하지 않았다.
가네코의 옥중 수기를 보면 그가 얼마나 신념이 투철했고, 이를 고결하게 지켜나갔는지 알 수 있다. 이런 문장들. "산다는 것은 단지 움직이는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자신의 의지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 행위가 비록 육체의 파멸(사형)을 초래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생명의 부정이 아니다. 긍정이다."
사형 판결을 받았던 가네코는 무기 징역으로 감형된 후 석달 만에 옥중에서 알 수 없는 이유로 세상을 떠났다. 그저 신념을 지키기 힘든 환경이지 않았을까 짐작해 볼 뿐이다. 당시 그의 나이 스물 셋이었다.
현재 영화 '박열'은 LA와 OC CGV 그리고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절찬 상영 중이다.
김효은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