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살며 생각하며] 겸이포 리발소

고백하자면 나는 사실 계집아이였던 시절에 아버지를 따라 이발소를 다녔다. 하지만 아버지를 따라나서는 이발소행은 극성스런 남동생들을 따돌리고 아버지를 독차지하는 늘 기분 좋은 추억으로 아직도 내게 남아 있다.

 우리 가족은 그 시절을 훗날 살던 주소를 근거로 ‘산 9번지 집’에 살 때로 언급한다. 거기에는 오늘날과 같은 텔레비전은 물론 도서관도 없고 라디오도 귀하던 시절이라 근처 도자기 공장에서 정오가 되면 흔히 오포를 분다고 표현하던 사이렌 소리로 시간을 알려주던 시절이었다. 초등학교 저학년이 접할 수 있는 문화가 전무한 시절의 해방촌살이였지만 아버지와 내가 가던 ‘겸이포 리발소’는 분명 한 문화의 형태로 자리 잡은 내게는 하나의 거대한 사원이었다.

그곳에는 우선 순서를 기다리는 도마 의자 옆에 ‘새 소년’ 등 보기 드문 잡지와 어른들이 보는 신문도 두 종류나 있었고 커다란 거울 양쪽 벽에 교실의 교훈이 있어야 할 자리에는 밀레의 ‘만종’이라는 그림이, 그리고 급훈 자리에는 한 농부가 헤설피 우는 소를 따라가며 힘겹게 밭을 가는 배경으로 멋 부려 흘려 쓴 세로로 씌인 한글체가 있었다. 친절하게도 제목은‘푸쉬킨의 삶’이라고 적혀 있었다. 의아했던 것은 밀레의 ‘만종’ 그림에는 제목과는 달리 어느구석에도 종이 없었고 푸쉬킨의 삶이란 시에는 ‘삶’은 없고 일하는 모습만 있어 아버지에게 물었던 기억이 있다.

이발소 간판으로 고향의 지명을 내세운 것만 봐도 사무치는 그리움 같은 것이 어린 내게도 전해져 왔던 것으로 기억한다. 황해도 피난민인 아버지는 두고 온 고향산천 겸이포를 추억하며 “에구! 그 땅을 언제 밟아보나?” 하면서 늙은이처럼 한숨을 포옥 내쉬곤 했다.



어느덧 내 순서가 끝나고 이발소 팔걸이 위에 보조로 걸려 있는 송판에서 내려와 이제는 거대한 바퀴 손잡이가 달린 의자에서 왕처럼 앉아있는 아버지 차례가 된다. 어느새 손 바퀴를 조정하였는지 거의 눕다시피 하여 아버지는 면도를 받고 있다. 머리카락이 떨어지는 것 막기 위해 커다란 보자기를 쓰고 있는 아버지의 모습은 복장의 유사성 때문인지 거만한 자세로 인한 것인지 어느새 그대로 왕으로 등극한 로마의 황제가 되어 있었다. 주철 난로 연통에 비누 거품을 묻힌 솔을 몇 번 비벼 적당히 데운 후 까칠한 아버지 얼굴과 목에 넉넉하게 칠하고는 능숙한 솜씨로 닳고 닳은 가죽 혁대에 칼 면도를 이쪽저쪽 번갈아 벼른다. 이윽고 번득이는 날을 아버지 목에 대고는 한치 주저도 없이 목을 타고 죽죽 훑으며 내려가면 ‘싸아악’ 소리와 함께 비누거품이 면도날에 걸리면서 말끔하게 소름 돋은 아버지 목이 드러나고 순간 정육점 아저씨의 고기를 발라내는 익숙한 손놀림이 내 머릿속에서 겹쳐지면서 나는 그만 눈을 감고 만다. 만약 이발소 아저씨가 딴마음을 먹는다면…. 그리되면 아버지 없이 성냥팔이 소녀와 소공녀처럼 살아갈 내 모습과 가족이 그려지면서 나는 거의 울상이 된다. 비정하지만 아버지의 죽음을 상상하면서 나는 영악하게도 내가 살아갈 고민을 했다. 그것이 염치없어 “아버지 안 아파?” 거푸 묻는다.

 사람들이 왁자하게 웃으면 나는 그제야 안심이 되어 희미한 웃음을 짓는다. 붉고 푸른색 띠가 나란한 대각선으로 끝없이 말아 올라가는 이발소를 뒤로하고 부녀는 손을 잡고 해지는 산 9번지로 올라간다. 지나고 보니 허망하게도 반세기 전 계집아이의 기억이었다.

김준혜/뉴스타 부동산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