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탄핵' 압박…15일 민·청 영수회담
추 대표 제안에 청와대 수용
촛불 민심으로 '탄핵' 자신감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추 대표가 제안한 회담을 수용하기로 했다"며 "내일(15일) 열기로 하고 시간 등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추 대표는 이날 오전 6시30분께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오늘 오후 박 대통령과 양자회동 형식의 긴급회담을 열자"고 요청했다.
추 대표는 영수회담 장소로는 국회나 청와대 등 어디든 상관없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수회담이 성사되면 안건은 촛불집회 민심과 정국 해법 등 현안 전반이 될 것이라고 추 대표 측은 밝혔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 2선 후퇴 등을 요구하는 데 그쳤던 더불어민주당이 광화문 촛불집회 민심에 힘입어 박 대통령 탄핵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했다.
추미애 대표는 전날인 13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박 대통령이 마지막 할 일은 불상사가 일어나기 전에, 국민이 다치기 전에, 평화롭고 순조롭게 순리대로 정국정상화에 결자해지하는 것"이라며 "그러지 않는다면 국민의 손으로 헌법이 대통령에게 드린 권한을 돌려받는 절차가 남았을 뿐"이라고 탄핵 추진 가능성을 언급했다.
같은 당 민병두 의원도 "19일 정도로 예정된 검찰의 (최순실 씨) 공소장은 중대변수다. 교사범·공동정범으로서 대통령의 범죄가 적시된다면 국회는 헌법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 탄핵이라는 행동에 들어가야 하는 책무를 안게 된다"며 최순실 기소 시 공소장 내용이 탄핵 추진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민 의원은 새누리당 내 비박계 의원들과 접촉해 탄핵 동참을 설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내에서 이처럼 탄핵 주장이 공개적으로 제기되는 것은 12일 광화문 촛불집회의 규모가 100만명에 달하는 등 예상을 뛰어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에 대한 비난 강도가 임계점을 넘었다고 본 민주당이 이제 '탄핵 역풍'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판단을 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탄핵을 반대하는 이들이 수세에 몰릴 수 있다는 것으로 민주당이 자신감을 갖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그간 민주당은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당시 새누리당이 역풍을 맞아 총선에서 패했다는 점을 근거로 박 대통령 탄핵 추진에 소극적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여론 추이 변화로 인해 민주당의 내부 분위기도 바뀌고 있다.
여기에는 만약 새누리당이 국회 본회의에서 탄핵소추안을 부결시키면 오히려 비난 여론은 야당이 아닌 새누리당을 겨냥할 수 있다는 점도 계산돼 있다.
아울러 탄핵 여부를 최종 결정하는 헌법재판소 역시 촛불민심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서 부담을 안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