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반도체 삼성+전기차 BYD, 최강끼리 손잡았다

삼성, 4억 달러 들여 지분 4%
전기차용 반도체 사업 강화
LCD·센서 등 공급 확대 기대

2008년 9월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은 중국 BYD에 2600억원(약 2억2600만 달러)을 투자, 지분 10%를 인수했다.

2012년 이 회사의 순이익이 전년보다 90% 이상 감소하자 "천하의 버핏이 실수를 했다"는 말이 나왔다. 하지만 버핏의 투자는 '오마하의 현인'이란 그의 별칭답게 결과적으로 옳았다. BYD는 지금 테슬라를 누르고 세계 1위 전기차 업체가 됐다.

지난 15일 주요 외신은 삼성전자가 약 5000억원(약 4억3500만 달러)을 투자해 BYD 지분 4%를 매입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BYD의 지난해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208% 증가한 6만1722대로 테슬라(5만574대)를 제쳤다.



지난해 매출은 776억 위안(약 117억 달러)으로, 2년 전인 2013년 대비 47% 증가했다. 순이익은 28억 위안(약 4억2000만 달러)으로 전년 대비 550% 급증했다. 현재 미국 등 43개국에 지사를 두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열심이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BYD는 지난해 전 세계 전기차 출하량 톱10에 2개 차종(친(Qin)과 탕(Tang))을 올린 유일한 기업이다.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량은 올해 1~5월 기준 일본 파나소닉에 이은 세계 2위다.

BYD 창업자인 왕촨푸(50) 회장은 29세였던 1995년 250만 위안(약 37만 달러)으로 회사를 설립했다. 기업명은 '꿈을 이루라(Build Your Dream)'는 말에서 따왔다.

사업 초기 왕 회장은 BYD를 배터리 전문 기업으로 키웠다. 당시 배터리 분야는 일본의 독무대였지만 왕 회장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좋은 니켈카드뮴 전지를 제너럴일렉트릭(GE)과 일본 소니 등 글로벌 업체들에 공급하면서 사업에 탄력을 받았다. 2001년 BYD의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분야별 2~4위권으로 치솟았다.

2002년 홍콩 증시에 BYD를 상장하면서 신사업 투자 여력을 비축한 왕 회장은 2003년 2억6900만 위안(약 4000만 달러)에 중국 시안친촨자동차를 인수했다. BYD는 배터리로 번 돈을 자동차 생산과 연구개발(R&D)에 투입하면서 자동차 사업 비중을 키워 나갔다. 지금은 배터리와 자동차 분야의 사업 비중이 50대 50 수준이다.

삼성은 이번 투자의 배경에 대해 "전기차용 반도체 사업 강화가 주요 목적"이라고 밝혔다. 그간 삼성전자는 BYD에 반도체와 센서,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공급해 왔다. 이런 '자동차 전장 부품'은 삼성이 '미래 먹거리(신성장 동력)'로 꼽는 분야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로 주행되는 전기차는 반도체 등 전장 부품의 중요성이 일반 차량보다 훨씬 크다"며 "글로벌 기업들이 이를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이에 힘입어 2018년 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가 36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창균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