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결같이 담담한 한강
지난 4월 25일 중앙일보 스튜디오에서 소설가 한강을 만났다.장편 『채식주의자』로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최종심에 오른 소회를 묻는 인터뷰였다.
먼저 도착한 한 작가가 취재기자와 함께 입구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이번이 다섯 번째 만남이었다.
한 작가가 빙긋이 웃었다.
여느 때처럼 눈이 살짝 감기는 빙긋 웃음이었다.
이 웃음은 한 작가 특유의 표정인데 나름 반가움의 표시다.
그러면서 예의 갖춘 인사를 건넸다.
다섯 번째인데도 참 한결같았다.
사실 내색을 안 했지만 인사를 건네며 나는 호흡을 가다듬었다.
고백하자면 사진기자 입장에선 한 작가의 한결같음이 적잖이 부담스러웠다.
예의 바름, 부드러운 미소, 차분한 말씨, 단정한 자세, 뭐 하나 나무랄 데 없다.
하나 이 모두 사진으로 표현해야 할 메시지는 아니었다.
이를테면 광주를 다룬 장편 『소년이 간다』를 이야기하면서 부드럽고 예의 바른 미소의 사진이라면 어울리지 않는다. 사진엔 그것을 넘어서는 메시지가 담겨야 한다.
게다가 한 작가는 매번 BB크림만 살짝 바른 화장기 없는 얼굴로 나타난다.
그만큼 자기 과시를 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취재기자의 질문에 군더더기 없이 할 말만 한다.
그것도 한참을 곱씹은 후에야 대답이 나온다.
이때의 시선은 대개 테이블이나 땅바닥을 향해 있다.
우스개를 건네도 '네'라는 대답과 빙긋이 웃는 게 전부다.
2015년 '황순원 문학상' 수상 인터뷰에서 한번은 작정하고 한 작가를 웃겼다.
손으로 입을 막더니 고개를 돌려 버렸다.
자기 과시도 없는 데다 좀처럼 빈틈 보이지 않는 한 작가, 어떨 땐 벽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다섯 번째 만남, 한결같은 인사에 내색도 못 하고 호흡을 가다듬은 이유였다.
취재기자가 축하를 건네며 심경을 물었다.
"너무 좋다거나 그렇지는 않네요. 평화롭게 살다가 지난 소설이 다시 회자되고
계속 전화벨이 울리는 상황이 낯설었습니다. 더구나 대중적이지도 않고
조용히 내 글만 쓰던 사람에게 한국 문학을 묻는 게 당황스럽습니다."
그래서 전화를 피하고 숨어 있었다고 했다.
고민을 거듭하다 인터뷰에 응한 이유를 설명했다.
"2005년 이상문학상을 받아 작품이 많이 읽혀졌어요. 그런데 탐미주의적 작품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어요. 당시 책 광고 문구도 선정적이었어요. 그래서 상처를 많이 받았어요. 작가의 의도와는 동떨어진 오해를 한 번은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오래 묵혀둔 속내인데도 말투는 차분했고 표정은 담담했다.
당신의 작품이 다르게 읽히는 오해, 작가로서 오래 묵은 상처였다.
'조용히 글만 쓰던 사람'으로 돌아가기 위한 토로로 읽혔다.
지난 16일, 한 작가의 수상 소식을 접했다. 그 다음 날 취재기자가 한국의 독자에게 한 말 해달라고 한 작가에게 전화로 요청했다.
한 작가의 답은 이랬다.
"아유, 그런 말 못해요. 너무 떠들썩하게 하지 말고 조용히 다뤄 주세요. 부담스러워 한국에 못 돌아갈 것 같아요."
그 답에서 한결같은 빙긋 웃음이 스쳤다.
지난 19일 한 작가가 귀국을 했다. 예정보다 하루 앞당긴 귀국이었다.
한 작가의 에이전트도 몰랐다고 했다.
언론의 주목을 따돌린 귀국, '한강다움'이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