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살며 생각하며]시대 유감

김준혜/뉴스타 부동산

없이 살던 시절의 이야기이다. 지역과 출신을 떠나 우리가 60년대 또는 70년대에 어린 시절을 보냈다면 늘 누런 코를 인중에 달고 다니던 동무의 기억이 아마 한둘은 있을 것이다. 언제나 훌쩍거려 소매가 반질거리던, 어느 꽃그늘의 추억처럼 보편적 가난 아래 놓인 유년의 기억으로 아직도 남아 있는 옛동무들, 그들은 과연 지금 어느 하늘 아래서 어떻게 늙어가고 있는지 모를 그런 단상 말이다.

하지만 그 코가, 코의 분비물이 아니라 뇌에서부터 흘러나온 뇌의 노폐물로 여겨지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으로 보면 황당한 추정과 일반의 믿음이 1900년대 초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바로 잡힌 것을 생각하면 실로 격세지감이다. 그때까지만 해도 양의 피를 뽑아 사람에게 넣어보기도 하고 오늘날의 식염수 대신 우유를 사람의 혈관에 흘려 넣어보기도 했다. 게다가 심한 출혈로 죽어가는 다른 사람에게 사람의 피를 뽑아 주입함으로 어떤 경우는 살고 어떤 경우는 죽어 의사들을 당황케 했다고 기록은 전하고 있다. 겨우 1900년대에 들어와서야 혈액형의 존재를 알아냈고 RH형의 피가 존재한다는 것은 1·2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바로 인류의 희생을 통해 알게 되었으니 무슨 말을 더 보태겠는가.

30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가면 전염병의 실체가 마녀가 악마와 작당을 하여, 빗자루를 타고 다니며 병을 퍼트린다고 여겨지던 시절이 있었다. 흑사병이나 다른 감염 질병을 막기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무지와 온갖 저주 아래서 자행된 마녀사냥이 바로 그것일 것이다. 인류가 최초로 망원경을 만들어 별을 관찰했을 때 그들이 발견하리라 예견했던 것은 그 별 속에 의자에 앉아 있을 근엄한 신의 모습이었다. 세월은 흘러 인류는 아폴로를 띄웠고 달나라의 월계수와 절구질하던 토끼설화를 없애버리더니 우리가 채 늙어 죽기도 전에 고향은 없어지고 유년의 뜨락이던 초등학교는 어느덧 3차 신동아 아파트가 되어버렸다.

낯선 땅에 옮겨와 가정을 이루고 일용한 양식을 구하는 동안 우리 모두 귀밑머리가 허옇게 변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우리가 그만큼 똑똑해진 것 같지는 않은데 동료의 천재성에 기대어 고스란히 그 혜택은 받는 것 같아 그저 죄송하다.



천문학의 발달로 빈센트 반고흐가 그린 ‘밤의 별빛과 카페 테라스’에 담긴 별모습을 보고 정확히 1888년의 어느 날이며 아무시라고 규명할 수도 있게 되었다. 최근의 일로서 인간의 복잡한 추론과 경험의 체계가 필요하다는 바둑에서마저 컴퓨터 프로그램인 알파고가 우리들의 바둑천재를 연거푸 무릎 꿇게 했다.

호사가들은 인류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입을 모았다. 못난 내가 봐도 인류사는 이미 문명의 가속도가 붙어 그런지 참으로 적응하기 쉽지 않다. 세상이 바뀌면서 ‘도대체 시인은 어디에 무덤을 두어야 하느냐’던 어느 시인의 음울한 구절이, 우리 앞에 놓여있는 100세 시대라는 삶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어떻게 맞아야 하고 또 무엇을 준비해야 할는지.

봄이 다투어 냉큼 꽃을 피우고 있다. 이번 주말에는 체사피크에 가서 왠지 베이브릿지라도 건너야 할 것 같다. 어쩌면 서쪽 하늘을 붉게 물들이는 그런 장려한 일몰을 마주할 수도 있을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