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먹고 살기 힘든데 아이는 무슨…'인구 위기' 오나

미국도 출산율 가파르게 하락
작년 15~44세 가임여성 48%가 '무자식'

출산이 급감하는 '베이비 버스트(Baby Bust)' 시대가 오나. 지난 7일 연방센서스국이 무자녀 30~40대 여성 비율이 2014년에 다시 증가했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베이비 붐의 반대현상인 '베이비 버스트' 시대 도래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센서스국 조사에 따르면 2014년 6월 현재 30~34세 여성의 28.9%가 자녀를 낳지 않아 30%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의 26.8%, 2012년의 28.2%과 비교할 때 꾸준한 증가세다.

35~39세의 무자녀 여성 비율은 18.5%였다. 이 연령대도 2008년의 9.9%, 2012년의 17.2%와 비교해 무자녀 비율이 증가했다. 40~44세 사이에서도 무자녀 여성은 15.3%로 2008년의 9.2%, 2012년의 15.1%보다 늘었다. 특히 나이대가 낮을수록 무자녀 비율이 높은 추세가 뚜렷해 지고 있다.

15~44세 여성중 무자녀 여성은 지난해 47.5%를 기록했다. CDC가 가임여성으로 규정한 연령대의 약 50%가 자녀가 한 명도 없는 것이다. 이 수치도 2012년의 46.5%보다 늘었다. 연방질병통제예방국(CDC)가 가임 연령대로 규정하고 있는 15~44세 여성 전체의 무자녀 비율은 지난해 47.5%로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가임여성 1000명 당 출산 자녀는 2012년 63명으로 이미 5년 연속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이는 1960년의 118명, 1990년의 71.2명에 비해 크게 낮아진 것이다. 미국은 외국 출신 이민 여성의 출산율이 미국 태생보다 13%포인트 높다. 하지만 앞으로 이민자 유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출산율 하락은 더 가파를 것으로 추산된다. 그래프3 참조>



여성들이 출산 자체를 기피하는 것은 아니다. 퓨 리서치 센터는 최근 연방정부의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여성 1인당 자녀수가 2.1명일 때 여성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수는 2.4명인 것으로 분석했다. 출산 저하의 사회적 요인이 있다는 의미다.

가장 큰 요인은 양육비다. 연방농무부 산하 영양·홍보국의 조사에 따르면 17세까지 자녀 양육비는 1960년 19만8560달러(2013년 물가 환산치)에서 2013년엔 24만5340달러로 증가했다. 그래프4 참조> 세부적으로는 탁아·교육비가 1960년 2%에서 2013년 18%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비영리 양육정보 단체인 '미국 차일드 케어 어웨어'는 2014년 연례 보고서에서 대부분 지역의 가정에서 자녀를 탁아시설에 맡기는 비용이 가계 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젖먹이~유치원까지 자녀를 맡기는 비용은 매사추세츠주의 경우 연간 1만6549달러나 됐다. 이 비용은 30개 주에선 대학 등록금보다 많았다.

센서스국 조사에서 40~50세 관리직과 전문직 여성의 무자녀 비율은 다른 직업군보다 높았다. 직장생활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운 사회환경이 출산 저하의 한 원인임을 보여주는 수치다.

저출산 원인 중 하나는 결혼과 출산 지연이다. 퓨 리서티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1983~1993년에 태어난 밀레니엄 세대의 결혼비율은 25%에 불과하다. 20대 초반 결혼율은 X세대 36%, 베이비붐 세대 48%, 대공황~2차대전 사이에 태어난 침묵하는 세대 65%였다.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난이다. 역사적으로 출산율은 1930년대 대공황과 1970년대 오일쇼크 당시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그래프2 참조> 1990년대까지 조금씩 증가하던 출산율은 최근 금융위기 이후 계속 하락세로 보이고 있다. 연방준비제도는 2009년에 불경기가 끝났다고 선언했지만 여성들은 그렇게 느끼지 않는 것이다. CDC에 따르면 2013년 1인당 출산은 1.86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경제가 회복되면 다시 결혼이 앞당겨지고 출산이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비영리 인구 리서치 그룹인 인구조회국은 OECD 국가의 사례를 보면 불경기엔 실업률이 늘면서 출산이 줄지만 그 영향이 크지 않고 2~5년 정도 지속된다고 분석했다. 인구조회국의 칼 허브는 "미국은 유럽·일본·한국·대만보다 양호한 상태"라며 "1970년대 출산율이 1.7명까지 하락한 예가 있는 만큼 경기가 좋아지면 반등할 것"이라고 낙관했다. 반면 OECD 국가의 사례를 비춰볼 때 1인당 2.1명 출산이 무너지면 경제 회복 이후에도 1명대 출산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이민도 감소하면서 예전처럼 저출산을 이민으로 보충하는 것도 기대하기 어렵다.

2013년의 경우 신생아는 전해의 395만 명에서 393만 명으로 2만 명이 줄었다. 그래프1 참조> 이는 특히 2007년 이후 출산 적령기인 20~39세 여성이 160만 명 증가한 상황에서 나타나 우려를 증폭시켰다. 경제적 불안감 때문에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을 미루고 취업과 재교육에 매달린 것으로 전문가들은 해석한다.

뉴햄프셔대학 케니스 존슨 인구학 교수는 "젊은층이 줄어들면 18~20년 뒤 노동력 감소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며 "출산율 저하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준다"고 우려했다. 특히 국내총생산의 70% 정도를 소비가 차지하는 미국에서 소비층의 감소는 경제에 더 큰 부담을 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2007년 이후 인구 현상 유지선인 여성 1인당 자녀 2.1명이 무너졌다. USC도 2013년 1월 가주의 신생아수가 전례없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보고서를 내고 "가주의 번성에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USC는 "신생아 감소에 따라 2015년생이 감당할 경제적 부담이 1985년생의 2배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경기 회복에 따라 2013년 출산율은 1.9명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1.86명에 그쳤다. 유럽과 일본 경제와 비교할 때 미국의 강점 중 하나로 꼽혔던 높은 출산율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인 것이다. 인구감소의 화살표를 돌리지 않으면 경제의 또 다른 복병이 될 수 있다.

안유회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