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밀리언셀러 '엄마를 부탁해' 작가 신경숙의 뉴욕이야기

세계인의 정류장…'이방인을 부탁해'
문 닫으면 절해고도…문 열면 세계중심

나에게 여행은 낯선 세계로의 진입만은 아니다. 그리운 것들과의 재회의 시간이 내겐 여행이기도 하다. '이제는 이렇게 흘러가겠지'를 뒤집는 일은 인생에서 수시로 발생한다. 뉴욕을 그리워하는 시간이 내 인생에서 발생할 줄이야. 1년을 뉴욕에서 방문객으로 지내다가 다시 서울로 돌아와 내 책상에 앉을 때마다 맨해튼 52가 8애비뉴에 있던 20층 원룸아파트에서 내가 쓰던 작은 2인용 탁자 모서리에 닿곤 하던 내 팔꿈치 감각이 떠오르곤 했다. 그 탁자에 발을 올려놓고 벽에 등을 대고 앉아 창밖으로 보이는 마천루의 불빛들을 내다보곤 했던 1년 전의 내가 타인처럼 그립게 떠오르곤 했다.

8개월 만에 다시 뉴욕과 다시 재회했을 때 공항에서 탄 택시가 맨해튼으로 들어서는데 나도 모르게 콧날이 싸했다. 여장을 풀고 내 발걸음이 찾아간 곳은 내가 살던 곳이었다. 서른 두 개의 블록을 걸어 내가 도착한 내가 살았던 곳. 그저 그쪽 빌딩을 한번 올려다보고 올 생각이었는데 20m 전부터 나를 알아본 도어맨이 문을 열고 기다리고 있었다. 기쁨 같기도 하고 서글픔 같기도 한 감정이 스치고 지나갔다.

도어맨은 내가 그곳을 떠난 지 8개월이나 지난 것을 모르고 있었다. "해브 어 굿 데이(Have a good day)." 도어맨의 인사에 밝게 미소까지 지으며 떠난 지 8개월이 된 빌딩 안으로 들어섰다. 그대로 로비를 지나 익숙한 우편함을 바라보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가 항상 내리던 20층에 내려 저절로 코너를 돌아 내가 살던 집 문 앞에 섰다. 지금은 누가 살고 있을까 저 안에.

우리가 뉴욕을 말할 때 등장하는 곳은 사실은 맨해튼이다. 맨해튼은 뉴욕 주에서도 가장 작은 면적인데 우리가 뉴욕이라고 말할 때의 거의 모든 것이 거기에 있다. 세계 상업과 금융 시설뿐 아니라 뮤지컬.오페라.패션.음악.미술 게다가 세계의 다양한 음식이 모여 있는 레스토랑들…. 세계 문화가 그곳에서 발생하고 그곳에서 소통된다.



나에게 맨해튼이 편안했던 것은 나처럼 길눈이 어두운 사람도 주소 하나만 가지고 있으면 어디든지 찾아갈 수 있는 곳이기도 해서였다. 게다가 거리에 나가보면 모두들 어디선가 모여든 이방인들 같았다. 나도 그중의 한 사람. 지하철 안에서든 길거리든 공원이든 카페든 앉아서 오가는 사람들을 바라보면 어쩌면 그렇게 비슷한 사람들이 없는지. 모두들 1인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는 듯했다.

뉴욕의 실내로 들어가 보기 전에 뉴욕의 첫 인상은 세계인의 정류장 같다는 느낌이 강했다. 그곳에서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잠시 머물다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모여드는 사람들만 보였다. 그래서 어느 날인가 내 책을 만드는 에디터에게 "한국에서 뉴요커라고 하면 아주 멋쟁이로 통하고 특히 패션 스타일이 좋은 사람들을 뜻한다. 그런데 내 눈에 그런 사람들이 잘 안 보인다. 한국에 소개되는 뉴요커들은 다 어디에 있는가?" 물었다. 그녀가 유쾌하게 웃음을 터뜨리더니 "아마도 그들은 실내에 있지 않을까?"라고 대답했다. 미술관이나 공연장들이 그녀가 말하는 실내에 속한다면 나는 그녀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솔직히 말한다면 나는 뉴욕의 겉모습에는 전혀 놀라지 않았다. 오히려 실망하기까지 했다. 도착한 첫날 밤에 나는 시차가 아니라 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119 구급차 소리 때문에 도무지 잠을 이룰 수가 없었다.

다음날 이른 아침에 5애비뉴 쪽으로 나가 센트럴파크 쪽으로 나갔을 때 나를 반긴 건 불행히도 지독한 말똥 냄새였다. 매일 아침마다 센트럴파크에서의 조깅을 생각했던 내게 센트럴파크가 보낸 첫인사는 인상을 찌푸리게 하는 말똥 냄새였다. 그 냄새가 센트럴파크의 강렬한 인상이 돼버리는 통에 아침마다 조깅은 무산되었다. 그래서 뉴욕에 머무는 1년 동안 아침에 센트럴파크에 나가보는 일은 눈이 내린 겨울날 아침에 더 많이 이루어졌다.

길거리는 여행자들로 소란스럽고 북적이고 더러웠다. 200L 용량은 될 것 같은 검은 비닐로 된 쓰레기봉투 속에 가득 가득 담긴 쓰레기들이 길거리에 산더미만큼 쌓여있는 곳도 허다했다. 지하철역은 어둡다 못해 쥐가 돌아다니고 빗물이 새고 청소를 하지 않아 쓰레기들이 돌아다녔다. 오래된 지하철은 걸핏하면 수리 중이어서 주말이면 노선이 끊기곤 했다. 서울 같으면 그야말로 뉴스로 등장할 일이 주말엔 운행이 변경된다는 안내 메시지 한 장이 달랑 붙어있는 것으로 끝이었다.

그 지하철을 타는 게 싫었기 때문에 웬만한 거리는 걸어 다니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그 도시의 매력에 빠져들었다. 뉴욕이라는 첨단 문화도시 풍경 속에는 늘 걷는 사람들이 있다. 20블록 30블록쯤은 거뜬히 걸어 다니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일까? 뉴욕의 거리를 걷다 보면 수준 높은 공공미술과 마주친다. 내가 55가의 6애비뉴에 있는 로버트 인디애나의 '러브(LOVE)'를 만난 것도 어느 금융회사의 건물 로비에서 토머스 하트 벤튼의 벽화를 만난 것도 그냥 걷다가였다.

복잡한 타임스퀘어에서 환승을 할 일이 있었는데 길을 잃어버려 헤매다가 고개를 들어보니 행복한 눈물의 리히텐슈타인의 벽화 앞에 서 있기도 했다. 뉴욕현대미술관(MoMA.모마)이라든가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같은 곳을 일부러 찾아가지 않아도 뉴욕이라는 공간 자체를 전시장 삼아 전시회가 수시로 벌어지기 때문에 그냥 걷다가 세계적 수준의 작품을 시시때때로 만나게 된다.

걷는 곳이 첼시 지역일 때는 몇 걸음마다 세계적 작가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는 갤러리가 있어 자기도 모르게 한나절을 꼬박 갤러리를 누비고 다니다가 고가 철도공원 하이라인(The High Line) 위로 올라가 보면 그 모던함에 그만 감탄하고 만다. 원래는 화물열차가 지나다니는 철길이었는데 80년대부터 열차가 다니지 않게 되면서 음산하게 방치되어 있던 곳을 공원으로 개발한 곳이다. 철길은 그대로 있고 남북으로 30개가 넘는 블록에 걸쳐 있기 때문에 걷기에도 쉬기에도 적절한 곳인 데다 하이라인에 올라 걷는 길은 블록마다 같은 풍경이 없다. 버려진 철길이었다는 것도 이따금씩 노출된 철로로 확인될 뿐 마음이 안정되는 그 세련됨에 아! 뉴욕! 하게 된다. 철길 사이에 한껏 심어놓은 야생화들 사이에서 각각 다른 블록의 맨해튼을 내다보면 오래된 익숙함과 방금 발생한 낯섦이 서로 만나 합쳐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하이라인의 이쪽이든 저쪽이든 걷는 것 자체를 잊어버릴 만큼 홀려 있다가 다시 거리로 내려오면 길거리 아티스트를 수시로 만나게 되는데 거리의 악사들 실력이 수준급이어서 1달러만 놓기가 미안해 지갑을 다시 열곤 했다. 한적한 곳이면 벽에 기대어 온전히 연주를 감상하기도 했다. 뉴욕 거리의 악사는 떠돌이가 아니다. 뉴욕시에 공식적으로 원서를 내고 오디션에서 십대 일의 경쟁률을 통과한 악사들이라 그 실력이 수준급이다. 거리 자체가 미술관이며 음악당인 셈이다.

8개월 만에 재회한 뉴욕에서 첫 일이 옛집 쪽으로 걸어가 본 것이었듯이 틈이 날 때마다 줄곧 내가 하는 일은 내가 다녀본 장소들을 다시 가보는 거였다.

예전에 걸었던 아는 길 밤 산책을 즐기던 공원 회원권을 만들었던 서점 망고와 아보카도를 즐겨 사던 마켓 예술영화 전용 극장 일본 라면집 중국식 게볶음집 세 가지 스파게티를 한 접시에 담아주던 레스토랑…. 나는 그 장소를 떠나 서울로 돌아갔지만 나를 따라오지 못한 내가 거기 남아 있었다.

나는 낯선 곳에 가면 그곳이 익숙해질 때까지 기다려야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장소를 옮겨 다니며 글을 쓰는 일 카페 같은 곳에서 글을 쓰는 건 내 세계가 아니다. 문을 닫고 들어앉으면 완벽히 혼자가 되지만 문만 열고 나서면 세계의 중심과 통하는 도시 뉴욕에 내 책상을 하나 놓아두고 싶어졌다.

8개월 만에 재회한 뉴욕은 어느새 나에게 그런 곳이 되어 있었다.

글=신경숙(소설가)

사진=이병률(시인.여행작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