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연방판사 키운 파독 광부와 간호사
이선구-이화자씨 부부
시카고 이민 40년 결실
미주 한인 역사상 세번째로 종신직 연방판사에 오른 시카고 변호사 출신 이지훈(44·존 리) 판사의 아버지 이선구(72) 씨와 어머니 이화자(68) 씨의 바람이다.
이들은 연방 상원이 이 판사를 연방법원 일리노이 북부지원 판사로 인준한 다음 날 서버브 자택에서 ‘파독 광부와 간호사가 이룬 아메리칸 드림’ 이후의 ‘새 꿈’을 이야기했다.
충남 연산 출신의 이선구 씨는 1965년 독일로 향했다. 고시공부를 계속하고 싶었으나 경제적 형편 때문에 고민하던 중이었다. 독일에서 열심히 일하면 배고픔에서 벗어나고 공부할 기회도 가질 수 있을 거라 기대했다.
대전 출신의 이화자 씨는 1966년 파독 간호사 1기로 한국을 떠났다. 시험에 당당히 합격해 자랑스럽게 독일행 비행기에 올랐다.
아켄 광산에서 일하던 이선구 씨는 프랑크푸르트의 병원에 배정된 이화자 씨와 고춧가루를 매개로 만났다. 한국에서 오는 간호사들 편에 배달된 고춧가루를 찾으러 프랑크푸르트에 갔다가 신붓감을 만난 것이다.
둘은 라인강변을 따라 운행되는 기차를 타고 3~4시간 거리에 있는 아켄과 프랑크푸르트를 오가며 만남을 가졌고 결혼했다. 첫 아기(지훈)가 태어났지만 일하며 키울 수 있는 형편이 아니어서 이화자 씨의 친정어머니에게 보내기로 했다. 이 판사가 생후 3개월부터 만 5세 때까지 대전의 외할머니 손에 자라게 된 배경이다.
계약기간이 끝났지만 독일 정착은 어려웠다. 영주권을 받을 길이 없었기 때문이다. 먹고 사는 문제 때문에 한국으로 돌아갈 생각은 하지 못했다. 그래서 미국 이민을 결심했다.
이 씨 부부는 1970년 삶의 터전을 시카고로 옮겼다. 이화자 씨는 병원에서, 이선구 씨는 공장에서 일하며 자리를 잡았고 1972년 아들을 데리러 대전을 찾았다. 이선구 씨는 “만 다섯살이던 아들은 당시 유행하던 하춘화의 노래 ‘잘했군 잘했어’와 은희의 ‘꽃반지 끼고’를 유창하게 불렀다”고 회고했다.
초기 이민생활은 쉽지만은 않았다. 남편은 새벽에 나가 오후 5시쯤 퇴근했고 아내는 오후 3시면 병원으로 출근했다. 낮시간 한동안 어린 아들 혼자 집을 지켜야 했다. 이들은 “미국에서 아이를 혼자 두면 안된다는 법도 그때는 몰랐었다”고 털어놓았다.
그렇지만 큰 아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1등을 놓치지 않았다. 이화자 씨는 “아이가 아프다고 하면 타이레놀을 주머니에 넣어서라도 학교에 보냈다. 강하게 키우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 씨 부부는 이 판사 이외에 대니얼(35), 데이비드(30) 두 명의 아들이 더 있다. 대니얼은 스탠퍼드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컴퓨터 컨설턴트로 일한다. 막내 데이비드는 노스웨스턴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수학교사로 재직 중이다.
이 씨 부부는 “아이들에게 ‘미국에 인종차별이 없다고 하지만 분명히 있다. 같은 조건이라면 백인을 선택한다. 남들 두 배 이상 노력하지 않으면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없다’고 가르쳤다”며 “우리는 어렵게 살았지만 아이들만은 리더의 삶을 살기 바랬다”고 강조했다.
지금도 야간 교대근무를 하는 현직 간호사인 이화자 씨는 이달 말 은퇴를 계획하고 있다. 이 씨 부부는 “올 가을에는 한국을 방문해 그늘진 곳에 있는 어린이들을 돌볼 수 있는 기회가 있을 지를 찾아보고 싶다”며 “그동안 앞만 보고 살아왔고 내 가족을 위주로 생각하며 살아왔다. 앞으로는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살고 싶다”고 밝혔다.
[시카고=연합]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